내 마음의 넋두리 (수필) 썸네일형 리스트형 산부추 그리고... [찬조출연 - 용담 등등] 백합과 부추속 여러해살이풀 산부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저지대 풀밭부터 해발고도 1,300m 정도의 높은 산지의 건조한 능선부나 경사진 바위 지대 등에 자생합니다 얼핏 참산부추랑 상당히 헷갈리는데 산부추는 잎의 단면이 삼각형이고 참산부추는 잎의 밑 부분이 꽃대를 둘러싸고 편평해서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의외로 거꾸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저 역시 한동안... ㅎ) 확인한답시고 2 ~ 3개 밖에 없는 잎을 굳이 자르지 말고 줄기 근처의 잎을 살며시 만져보면 확인 가능합니다(산부추는 그나마 잎이 6개 정도까지 달리기도 함) 전초는 30 ~ 100cm 정도이나 대부분 30 ~ 50cm 정도인데 엄밀히 구분하면 꽃줄기(꽃대)의 길이입니다 잎은 3 ~ 6장 정도고 선형이며 길이.. 더보기 미역취 그리고... 국화과 미역취속 여러해살이풀 미역취 이 아이는 며칠 전에 올렸었습니다 며칠 전에 올렸으면서 왜 또 올리느냐고 하시겠지만 지난번 아이랑 비교해보면 전혀 다른 종 같은 느낌을 줍니다 옛날 중국의 어떤 엄마가 자식을 위해 밥 먹듯 이사를 했다는 이야기가 있지요? 그건 그만큼 환경이 중요하다는 건데 식물들 세상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의 종이 어떤 환경에 뿌리를 내렸느냐에 따라 절대 같은 종이라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겉보기에 전혀 다른 종처럼 보입니다 그 환경이 바닷가라면 더구나 바람 거세고 추운 동해안이라면 같은 종이 맞나 싶을 정도로 시각적인 차이가 뚜렷해집니다 미역취는 정상적인(?) 경우라면 1미터에 육박할 정도로 곧게 자라는데 바람 심한 바닷가에선 어림도 없습니다 사실 이 아이는 바닷가에서 그리 흔하게.. 더보기 분홍꽃향유 그리고... 꿀풀과 향유속 한해살이풀 분홍꽃향유 전국에 분포하나 꽃향유에 비해 다소 희소한 편이며 같은 곳에서 살기도 합니다 숲 가장자리와 햇빛이 잘 드는 곳 혹은 약간 메마르고 건조한 자갈밭 같은 곳을 자생지로 선호하는 것 같은데 국생종엔 정식으로 등록이 돼 있으나 국립생물자원관엔 아직 등록이 안 된 상태입니다 꽃의 색깔을 제외하면 희소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개화기가 아니면 꽃향유랑 딱히 구분할만한 차이점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전초는 60cm 정도까지 자라나 보통 30 ~ 40cm 전후이고 줄기는 뭉쳐나는데 가지를 많이 치고 네모지며 흰 털이 많습니다 잎은 마주나며 엽병은 1.5 ~ 7cm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몸은 1 ~ 7cm 너비 0.8 ~ 4cm이고 잎 양면에 털이.. 더보기 꽃향유 그리고... 꿀풀과 향유속 한해살이풀 꽃향유 우리나라 전역에 거의 빠짐없이 분포합니다 햇빛만 적당하면 동서남북은 물론이고 고저차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높아지면 상대적으로 전초가 작아짐) 잘 자라며 번식력도 좋은 편입니다 사촌인 향유에 비해 꽃의 색깔도 화려하고 예뻐서 이름에 꽃이 들어갈 만합니다 전초는 6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엽병과 더불어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이며 예두 예저이고 엽병으로 흐르며 길이 4 ~ 8cm 너비 3 ~ 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특히 맥 위에 많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방향성식물이면서 꽃의 색깔도 화려해서 경제작물이나 화훼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을 것 같은데 아로마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 더보기 가시연꽃 그리고... 수련과 가시연속 한해살이풀 가시연(가시연꽃)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수생식물이며 전초에 뾰족한 가시가 아주 많아서(꽃잎에만 없고 다 있음) 붙여진 이름일겁니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고는 했지만 자생지나 개체수가 아주 희소하며 오래된 얕은 연못이나 습지에 자생하는데 자생지 오염이나 훼손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점점 줄어드는 실정입니다 사설 식물원이나 시덥잖은 전문가들도 훼손에 아주 지대한 공헌(?)을 해대고 있는데... 할 말은 많지만 해봤자 욕부터 나올 판이니... -_-+ 이 아이는 줄기라는 개념은 없고 뿌리에서 잎이 올라오고 잎 사이에서 꽃대가 올라오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뿌리에서 처음 올라오는 잎은 의외로 자그마하고 화살처럼 생겼는데 타원형으로 점점 커지다가 나중에 아주 큰 타원형 혹은 방패모양의 .. 더보기 (흰)나도송이풀 그리고... 현삼과 나도송이풀속 한해살이풀 (흰)나도송이풀 나도송이풀은 우리나라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반기생 식물이며 분홍색 꽃을 피웁니다 그런데 그 중에 드물게 흰색으로 꽃을 피우는 아이가 보이는데 꽃이 흰색이며 전초는 맑은 녹색이라서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만날 때마다 유심히 관찰하는데 기본종이랑 꽃이랑 전초(기본종은 줄기가 붉은색)의 색깔 외엔 전혀 차이점이 없습니다 아직 정식으로 등록도 안 된 아이라서 이름도 (흰)이라고 붙였는데요 며칠 전에 기본종인 나도송이풀을 올렸으니 별도로 장황하게 설명할 것도 없고 그냥 이런 아이도 있구나 하고 구경이나 하시면 되겠네요 여기저기 흰색으로 피는 자생지를 알고 있는데 그나마 인간이 건드리지 않으면 개체수는 안정적으로 늘어납니다 우리나라 현삼과에 송이풀이 10여종 등록 돼 .. 더보기 쐐기풀 그리고... 20 - 1533 (초본 1382 - 1286) 쐐기풀과 쐐기풀속 여러해살이풀 쐐기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주로 우리나라 동쪽 지역에 분포하는 아이로 산기슭이나 숲 속의 그늘진 곳을 자생지로 선호합니다 이제 번호 붙을 정도로 만나기 어렵거나 엄청나게 희소한 아이가 전혀 아닌데 아무래도 호감 가는 아이가 아니다보니 예전에 번호 붙였겠지 하고 관심을 안 가진 탓입니다 새해 첫 번호를 이렇게 따끔거리는 아이에게 붙이게 됨을 가시에 찔려가며 심하게 반성합니다 +_+ 전초는 높이 40 ~ 100cm로 자라고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게 자라며 자모(刺毛 - 가시털)가 있으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세로로 능선이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3 ~ 9cm고 턱잎은 2장으로 서로 붙어 있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더보기 애기앉은부채 그리고... 천남성과 앉은부채속 여러해살이풀 애기앉은부채 경기 강원도 지방을 중심으로 남부지방 몇몇 곳에 분포하는 아이로 자생지나 개체수가 상당히 희소한 편입니다 자생지 여건은 깊은 산 속 낙엽수 하부의 습윤하고 여름철에 시원한 곳을 선호하는 편인데 습도가 자생지 여건으로 중요한 요소인 것 같으며 경험상 저지대부터 고지대까지 고르게 분포합니다 기본종인 앉은부채에 비해 잎은 물론이고 꽃 크기가 훨씬 작다고 붙인 이름인 것 같습니다 이 아이는 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잎이나 꽃이 곧바로 올라오는 형태입니다 잎은 엽병이 길며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대개 둔하며 밑 부분은 심장저이거나 심장저 비슷하고 길이 10 ~ 20cm 너비 7 ~ 12c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이른 봄 다른 식물이 움트기 전에 싹이 돋아 배춧잎처럼 .. 더보기 쑥방망이 그리고... 국화과 금방망이속 여러해살이풀 쑥방망이 문헌상으론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고 돼있으나 자생지와 개체수가 아주 희소합니다 자생지로는 산비탈 관목림 숲의 변두리와 풀밭을 선호하는 편이며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한다고는 하나 분포지도가 거의 텅 빌 정도로 흔치 않은 아이입니다 민간요법에 아주 유용하다는 게 개체수의 희소함에 일조 한 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전초는 높이 60 ~ 1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희미한 세로 능선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많이 칩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있고 모여 나며 로제트로 벌어지고 난상 타원형으로 털이 없거나 맥줄에만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입니다 줄기잎은.. 더보기 백운풀 그리고... 꼭두서니과(꼭두선이과) 백운풀속 한해살이풀 백운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분포하며 제주도에 사촌인 제주백운풀이 자생합니다 백운풀이라는 이름은 전남 백운산에서 처음 발견됐다고 붙였으며 낮은 산지의 습기가 충분한 곳이나 습지 주변을 자생지로 선호하며 자생지나 개체수가 아직은 많이 알려지지 않은 아이입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걸 보면 추위엔 약한 아이인 것 같습니다 전초는 높이 10 ~ 30cm로 자라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거나 곧추서는데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좀 정신 사나운 아이입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지만 거칠거칠하며 길이 1 ~ 3.5cm 너비 1.5 ~ 3mm로서 주맥만이 나타납니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제주백운풀은.. 더보기 이전 1 2 3 4 5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