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순채 수련과(어항마름과) 순채속 여러해살이풀 순채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강원도에도 있다는데 그 자생지를 가봤더니 오래 전 그 저수지에서 순채를 재배했다고 하더군요 그 지역에서 나고 자란 주민에게 들은 이야기인데 그 당시의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상당히 신빙성이 있는 이야기였으며 저수지를 한참 관찰해보니 꽃은 못보고 잎은 소량 발견했습니다 어린잎을 고급 요리 재료로 사용했으며 지금도 고급요리의 재료로 사용한다는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아이라서 건드리면 범죄행위인데 과연 어디서 구하는 걸까요? 수생식물이면서 문헌에 확실하게 명시된 건 없지만 짐작컨대 전초는 2미터 정도로 자라는 것 같은데 수심 1.5미터 이상에서도 자생한다고 하거든요 잎은 어긋나기하고 잎이 피려.. 더보기
백양더부살이 열당과 초종용속 여러해살이풀 백양더부살이 전라도와 제주도에 분포하는 아이로 쑥 뿌리에 기생해서 양분을 얻어서 살아가는 기생식물입니다 같은 집안인 초종용이 해안가 모래밭에서 사철쑥 뿌리에 기생해서 사는데 비해 이 아이는 일반 쑥 뿌리에 기생하며 지금까지 제주도 포함 3곳 정도에서 만났는데 기생식물 특성상 장래가 늘 불안합니다 이름은 처음 발견한 곳이랑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 전남 내장산의 백양사 혹은 백양산 등이랑 관련이 있나봅니다 기생식물이니 광합성을 위한 엽록소는 전혀 없으며 줄기는 여러 대가 뭉쳐나며 표면에 샘털이 많습니다 줄기는 높이 10 ~ 30cm로 갈색 빛이 돌고 잎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0.7 ~ 1.4cm 너비 0.2 ~ 0.4cm이며 비늘조각처럼 생겼고 표면에는 잔털이 빽빽하게 납.. 더보기
큰바늘꽃 바늘꽃과 바늘꽃속 여러해살이풀 큰바늘꽃 우리나라 특정지역에 극소량이 분포하며 자생지도 아주 희소한 아이입니다 (울릉도에도 있다는데 확인은 못해봤습니다) 이 사진을 찍은 곳이 거의 유일한 자생지 중 한 곳인데 소하천의 하천부지 자갈밭인데 몇 해 전 하천정비 한답시고 자생지를 완전 쑥대밭으로 만들어 간이 철렁했는데 천만다행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 현실적으로 이런데... 다른 국가적색목록의 아이들이야 말해서 뭐하겠습니까 전초는 이름처럼 키가 2미터 이상 자라기도 하며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곧게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전체가 둥글게 되며 길게 퍼진 털과 샘털이 밀생합니다 중앙부의 경생엽은 마주나기 하는데 선상 긴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예두이며 밑 부분이 좁아지면서 약간 .. 더보기
석곡 난초과 석곡속 여러해살이풀 석곡 남해안을 중심으로 제주도와 전라도 일대에 분포하며 제주도에선 그나마 만나기가 좀 수월하나 전라도에선 아주 희소합니다 오래 전 이야기지만 20세기 후반엔 전문적으로 채취하는 사람들이 해안가 절벽에서 그야말로 가마니에 가득 뜯어서 꽃집에 헐값에 넘기곤 했었습니다 80년대 중반에 큰 자루 가득해서 5만원 10만원에 넘기곤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그 무렵 진주에 근무했는데 야생란전문점 하는 친구가 있었음) 상록성으로 바위 겉이나 노출된 큰키나무 수간에 붙어서 사는 착생란으로 예전에 제주도에 가니 습도가 높은 숲속에 주로 나무에 착생한 아이들이 많았는데 사진 속 전라도에선 접근이 힘든 암벽에 가까스로 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게 이 자생지는 주변에 사찰이랑 암각화가 있어.. 더보기
갯봄맞이(꽃) 앵초과 갯봄맞이(꽃)속 여러해살이풀 갯봄맞이(꽃) 이름처럼 바닷가에 자생하는 아이로 우리나라 동해안에 분포합니다 사실 동해안이라고 했지만 경상도와 강원도 특정지역 몇 곳에 소량이 자생하는데 점점 자생지나 개체수가 줄어드는 실정인데 자생지 중엔 바로 바다와 접해서 파도가 치면 바닷물이 들기도 하는 아주 열악한 환경입니다 국생종에선 갯봄맞이로 국립생물자원관에선 갯봄맞이꽃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국생종에선 갯봄맞이꽃을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는데 국가기관끼리 뭐하는 건지...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고 높이 5 ~ 20cm에 털이 없는 줄기가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랍니다 국생종 설명엔 줄기가 녹색이라고 돼 있으나 흰색 꽃일 경우는 녹색이지만 붉은 꽃의 경우는 줄기도 붉은색이라고 봐야할 것 같은데... 이런 단순한 .. 더보기
조름나물 조름나물과 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조름나물 북방계식물이면서 수생식물로 우리나라엔 극소수의 자생지가 있으나 상당히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아이가 선호하는 자생지 여건은 조금은 비현실적인데 수생식물이면서 고지대를 원하니 우리나라 여건에 그런 자생지가 흔하진 않습니다 북방계식물이니 상대적으로 따뜻한 우리나라에선 서늘한 곳을 선호하게 되고 그러니 고지대 습지나 연못이 자생지가 되는 겁니다 이름이 좀 특이한데 이 아이를 소나 가축이 먹으면 존다고 합니다 실제로 잎에 불면증 및 정신불안증에 효과 있는 성분이 있다고 하는데 문제는 워낙 희소한 아이라서 그림의 떡이라는 겁니다 특이한 자생지 여건에 난개발까지 더해져 그렇잖아도 몇 안 되는 자생지가 최근들어 확연히 줄어드는 실정입니다 잎은 잎자루가 긴 3출엽 ..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대성쓴풀속 한해(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우리나라 특정 지역에 극소량이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시베리아) 카자흐스탄에 분포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선 한해살이풀로 국생종에선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런저런 정황상 한해살이풀이 아닐까 짐작합니다(현재 정식으로 등록된 쓴풀은 전부 한해 혹은 두해살이풀임) 이름은 처음 발견한 곳의 지명이나 오류로 대덕산에서 발견했는데 대성산으로 착각해서 붙인 이름입니다 전초는 길이가 20cm 정도까지 자라나 높이는 10cm 미만으로 줄기는 비스듬히 서고 네모지며 연약하고 황록색을 띠며 차상분지합니다 차상분지(叉狀分枝)는 줄기 끝에서 똑같은 두 개의 가지가 생기고(Y자 형태) 이 가지 끝에서 같은 두 개의 가지가 .. 더보기
왕제비꽃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왕제비꽃 주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분포하나 자생지나 개체수가 극히 제한적입니다 첫 만남에 워낙 강렬한 느낌을 받아서 그 후로 열심히 찾다보니 그나마 3곳 정도 자생지를 확인했는데 첫 만남의 자생지는 다행이 특별히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그래봤자 엉성한 철선 몇 가닥이지만 그나마 그게 어딘가 싶어서 그 자생지는 그 후로 안 갑니다 이실직고 하자면 거긴 산을 제법 1시간 정도 올라가야 되고 다른 자생지는 주차하고 애국가 1절 절반 쯤 부르면 도착... -_-ㅋ 제가 아는 자생지는 전부 충청도 지방인데 문헌에선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 분포한다고 나오는데 중국 동북지방에도 분포한다고 하니 아무래도 온대지역은 여건이 안 맞나 봅니다 이름은 짐작컨대 제비꽃 중에선 키가 가장 큰 편에 속.. 더보기
애기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 여러해살이풀 애기송이풀 우리나라 몇몇 곳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아이로 아주 희소합니다 자생지는 제법 광범위하게 분포하나 개체수가 의외로 적으며 손버릇 더러운 연놈들 때문에 점점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기본종 송이풀에 비해 덩치가 작다고 붙인 이름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몇몇 곳에서 직접 만났고 지인들이 만난 자생지까지 살펴보면 가장 중요한 자생지 여건 중 하나가 습도인 것 같습니다 제가 본 곳도 그렇고 지인들이 본 것도 그렇고 거의 다 개울이거나 계곡 등 전부 물을 접하고 있으니 서늘하면서 습도가 충분한 곳이 아주 중요한 것 같고 아울러 직사광선을 충분히 가려주는 수림 하부를 선호합니다 이처럼 좀 까다로운 자생지 여건을 가진 아이들이 대체로 희소성이 높은데 이 아이도 대표적으로 까탈스러운 야.. 더보기
제비붓꽃 붓꽃과 붓꽃속 여러해살이풀 제비붓꽃 우리나리 특정지역에 극소량이 분포하는 아주 희소한 아이입니다 국생종에선 지리산에 자생한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국립생물자원관에선 지리산에선 관찰이 안 된다고 기록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연못이나 개울가 혹은 강기슭의 진펄이나 하천 둔덕과 같은 습지에 자생한다고 합니다 이 아이의 이명에 푸른붓꽃이 있을 정도로 아주 진하고 선명한 보라색의 꽃이 피는데요 꽃 크기는 기본종 붓꽃이랑 비슷한 것 같은데 꽃의 무늬나 색깔은 붓꽃에 비해 단순해서 시각적으로 깔끔한 느낌이며 어딘가 모르게 귀티가 느껴집니다 확실하진 않은데 암술머리가 유난히 크면서 2갈래로 갈라지는데 그래서 제비 꼬리를 연상하게 한다고 제비붓꽃이라고 이름을...? 전체적으로 붓꽃에 비해 튼실하면서 훨씬 커 보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