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칠보치마 백합과 칠보치마속 여러해살이풀 칠보치마 원래는 경기도 칠보산에서 처음 발견됐으나 지금 그곳에선 거의 볼 수가 없고 경남 남해안 특정지역에 극소량이 분포합니다 제가 본 걸로 설명하자면 저지대 산자락 경사진 풀밭이랑 등산로(?) 주변에 자생하는데 이 자생지는 황토흙으로 이뤄졌는데 직접 가보진 않았지만 다른 자생지의 경우도 내가 알기론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처녀치마처럼 잎이 바닥에 깔리지만 처녀치마랑은 전혀 다른 아이라서 별도로 칠보치마속으로 분류가 되는데 자꾸 치마속 치마속 하니 요즘 문제인 무단촬영이 연상돼서 좀 그러네요 ㅎ 땅속 뿌리줄기는 곧고 많은 수염뿌리가 나며 땅 위 줄기는 없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잎은 뿌리에서 10여개가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황록색으로서 거꿀피침모양이고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 더보기
하늘나리 3종 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 하늘나리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어떤 문헌에선 아주 흔한 것처럼 표현하고 있는데 어느 동네에 그렇게 흔한지 참 궁금하네요 전국에 분포한다고는 하나 아무래도 백두대간 고산에 좀 더 많이 자생하는데 이 아이는 해발 800m 이상의 고지대를 선호하니 우리나라에 그만한 산이 흔하진 않거든요 이름은 아주 단순한데 꽃이 하늘을 향해서 핀다고 하늘나리... 그럼 고개 푹 숙이고 땅 보고 피면 땅나리냐... 맞아요 땅나리 ㅎ 백합과 특징 중 하나인 땅속의 비늘줄기는 흰색이고 마디가 없으며 다른 나리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달걀모양이며 전초는 높이 30 ~ 80cm이고 털이 없습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다닥다닥 달리는데 얼핏 보기엔 돌려나기 한 것 같으나 그냥 어긋나기이며 선.. 더보기
대흥란 난초과 보춘화속 여러해살이풀 대흥란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하나 제주도가 가장 많고 남부지방에 고르게 분포하며 강원도에도 자생지가 있으나 나머지 지역엔 소량이 분포합니다 이 아이는 썩은 토양에서 양분을 얻는 부생식물이나 다른 부생식물과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부생식물이면서 건방지게 엽록소도 있어서 어느 정도 광합성도 한다는 점입니다 이름은 처음 발견한 곳(전남 해남) 근처에 같은 이름의 사찰이 있으며 이명에 두륜란이라는 게 있는데 이건 그 절이 있는 산 이름입니다 백색 육질의 근경(뿌리)이 길게 뻗으며 가지치고 3각상의 비늘조각이 있으며 줄기는... 이게 줄긴지 꽃댄지 헷갈리는데 없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꽃대는 근경 끝에서 나서 곧추서고 다소의 털이 있고 하부에 기부가 짧은 엽초로 된 막질의 비늘잎이.. 더보기
으름난초 난초과 으름난초속 여러해살이풀 으름난초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특정 몇몇 곳에 분포하는 아이로 엄청 만나기 힘듭니다 제주도에선 그나마 만나기가 좀 수월하다는데 이거 보겠다고 바다 건너가긴 좀 그렇고 그래도 지금까지 2곳에서 봤는데 그게 제주도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보시다시피 전초에 엽록소가 하나도 없는 부생식물로 썩은 부엽 같은 것에 뿌리를 내려 양분을 얻어서 살아가는 아이입니다 문헌에선 전초가 높이 50 ~ 100cm로서 곧게 서며 육질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갈색 짧은 털이 밀생한다고 하는데... 제가 본 건 거의 다 40cm 전후였습니다 뿌리는 옆으로 길게 자라며 인편이 달리고 뿌리 속에 아밀라리아라는 버섯의 균사가 들어 있으며 잎은 비늘모양이라는데 실제는 없는 것처럼 보이며.. 더보기
큰바늘꽃 바늘꽃과 바늘꽃속 여러해살이풀 큰바늘꽃 백두대간 구역(이라고 쓰고 강원도 모처라고 읽음)의 특정 장소에 극소량이 분포합니다 자생지 여건이나 기타 사항이 특별히 까다로운 것도 아니고 딱히 손버릇 더러운 연놈들의 대상이 될 만한 것도 아닌데 희소성이 높은 이유는 이 아이가 북방계식물이라는 것도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우리나라의 기온이나 제반 여건이 아무래도 원활한 번식에 최적이 아닌가보다 하는 짐작을 하는데 하천 또는 계곡 주변의 자갈밭이나 모래땅의 축축한 곳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고 굵은 땅속줄기가 발달하며 문헌에는 줄기가 1미터라고 나오는데 실제로 보면 2미터 이상 자라기도 합니다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곧게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전체가 둥글게 되며 길게 퍼진 털과 샘털이 밀생하.. 더보기
순채 수련과(어항마름과) 순채속 여러해살이풀 순채 이론적으론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나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지방에 좀 더 높은 확률로 분포하며 자생지나 개체수가 아주 희소합니다 한때 고급 식재료로 인기가 높아 일부 지역에서 재배를 하기도 했으나 요즘은 재배한다는 이야기가 별로 없으며 오래된 저수지나 연못 몇몇 곳에 오래 전부터 자생하는 상황으로 수생식물이며 부유식물입니다 여담이지만 강원도에 예전에 재배했었다는 제법 큰 저수지를 가봤는데 저수지 중앙은 모르겠고 가장자리는 아무리 찾아봐도 거의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꽃은 없고 아주 가는 줄기와 잎만 봤음) 그나저나 이 아이는 문헌에 따라 수련과 혹은 어항마름과로 분류를 하고 있는데요 야생화를 좋아하는 입장에서 이런 경우에 참 난감하고 자칭 전문가라고 어깨 힘주고 사.. 더보기
끈끈이귀개 그리고... 끈끈이귀개과 끈끈이귀개속 여러해살이풀 끈끈이귀개 우리나라 서남해안 바닷가 일부 지역에 자생하는 아이로 개체수는 일정 수준 유지하나 자생지가 아주 희소하고 훼손도 심각합니다 해안가 낮은 산지의 햇빛이 잘 드는 습지나 주변 풀밭에 무리 지어 자라는 아이인데 이 집안은 겉보기엔 아주 연약하나 실제로는 무시무시한 식충식물입니다 일부 문헌에선 습지식물처럼 설명하고 있으나 실제로 살펴보면 건조한 풀밭에서도 어렵잖게 살아가는 편입니다 땅속에 지름 6mm정도의 덩이줄기가 있고 여기서 줄기가 올라오며 줄기는 높이 10 ~ 30cm이고 줄기 중간 윗부분에서 가지가 다소 갈라집니다 근생엽(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은 길이 1cm정도로서 가늘고 엽신은 길이 2 ~ 3mm 너비 4 ~ 6mm로서.. 더보기
복주머니란 난초과 복주머니란속 여러해살이풀 복주머니란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나 그건 이론적으로 그렇다는 겁니다 해발 500m 이하의 낮은 곳에서는 약간 음습한 낙엽수림 하부에서 생육하며 해발 500m 이상 되는 높은 곳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는 능선의 초지대에서 자생하고 고산지대에서는 아늑한 남향의 초지대에 자란다고 하는데요 이 또한 이론적으로 그리고 확률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고 워낙 희소하고 훼손이 심한 아이라서 올해 봤다고 내년에 또 본다... 개 풀 뜯는 소리입니다 기타 설명은 며칠 전에 올렸으니 참고하시면 되겠네요 5월18일 포스팅 참조(https://sea1955.tistory.com/4471) 이 아이는 겨울에 올리려고 비축해뒀던 건데...^^ 지난 금요일에 자란이랑 아래 넋두리를..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대성쓴풀속 한해살이풀(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우리나라 강원도 특정지역에 극소량이 분포하는 아이로 이름은 처음 발견한 사람이 위치를 (대성산으로) 착각해서 엉터리로 붙였다는 설이 있습니다(대덕쓴풀이라고 했어야...) 개체수가 얼마 되지도 않으면서 산골짜기 숲속에서 사는데 자생지가 안타깝게 등산로와 접하고 있어서 답압과 훼손 위협에 처해 있어서 이 작은 아이가 과연 버틸 수 있을까하는 불안한 마음이 볼 때마다 듭니다(오늘 사진은 전부 등산로 주변 아이들만) 그런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선 한해살이풀 국생종에선 여러해살이풀로 기록하고 있는데 쓴풀 집안이 대부분 한해 혹은 한두해 아니면 두해살이인지라 개인적으로 한해살이에 더 고개가 끄덕여 집니다 연한 줄기는 뿌리 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며(아닌 경우도 허다함.. 더보기
복주머니란 난초과 복주머니란속 여러해살이풀 복주머니란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울릉도에도 있었으나 사라졌다고 함)에 분포하나 개체수가 아주 희소한 아이입니다 해발 500m 이하의 낮은 곳에서는 약간 음습한 낙엽수림 하부에서 생육하며 해발 500m 이상 되는 높은 곳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는 능선의 초지대에서 자생하고 고산지대에서는 아늑한 남향의 초지대에 자란다는 게 문헌상 자생지 여건입니다 실제로 야생에서 만나보면 의외로 일조량은 결정적인 자생지 여건은 아닌 것 같으며 어떤 자생지의 경우 500m 이하면서 완전 노출된 풀밭에 자생하는 경우도 흔하게 있을 정도로 없는 것보단 있는 게 나은 듯합니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20 ~ 40cm이며 다세포의 털이 있는데 이 아이를 처음 야생에서 만났을 때 내가 생각했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