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마음의 풍경 (사진)

미나리아재비 외 4종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 [09 - 112]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미나리아재비]입니다 한 과를 대표하는 녀석인데 어쩌다가 그런 감투를 썼는지 모르겠습니다^^; 같은 과의 녀석들이 대부분 그렇듯 이 녀석도 꽃잎에 광택이 아주 심한 녀석으로 사진을 찍다 보면 여차하면 오버가 되거나 까맣게 나옵니다 노출에 상당히 신경을 써서 찍어야하는 녀석입니다 ***** [09 - 113]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누운주름잎]입니다 꽃으로는 거의 구분이 안 되는 [주름잎]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만나는 녀석은 [누운주름잎]입니다 그리고 [주름잎]은 한해살이풀입니다 주름잎은 뿌리에서 줄기가 곧게 올라와 줄기 끝에서 꽃이 피는 일반적인 모양인 반면 누운주름잎은 줄기가 여러 개 땅을 기듯이 뻗으며 꽃이 핍니.. 더보기
꽃마리 외 3종 [지치과 - 꽃마리] [09 - 107] [지치과]의 두해살이풀 [꽃마리]입니다 야생화 중에서 가장 작은 것 중에 하나입니다 꽃 지름이 2mm 정도로 아주 작은데 그래도 자세히 보면 작은 구멍 안에 꽃술이 있습니다^^; 꽃이삭이 태엽처럼 말려있다고 해서 꽃마리라고 합니다 너무 작아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바람 정도에도 촬영이 불가능할 정도입니다 한마디로 [성격 테스트]용으로 딱입니다 ㅎㅎ ***** [09 - 108]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머위]입니다 이름과 꽃이 잘 연결이 안 되시겠지만 잎은 삶아서 쌈으로 먹고 잎자루로 나물을 만들어 먹는 그 [머위] 맞습니다^^; 꽃이 먼저 피고난 후 잎이 올라오므로 야생화에 관심이 없으신 분은 잘 모르실 것 같습니다 ***** [09 - 109] [미나리과]의.. 더보기
피나물 [양귀비과 - 피나물]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피나물]입니다 지난 주말 출사에서 담아온 녀석들입니다 꽃을 찾아 팔도가 좁다하고 출사를 다니다 보니 같은 야생화라도 조금씩 다른 걸 느낍니다 피나물을 예를 들어 말씀드리자면 남부지방 보다는 중부지방의 화색이 더 선명합니다 일교차 때문에 그런 게 아닐까 짐작을 합니다 그동안 여러 곳을 다니면서 확인해본 결과 가장 선명한 곳은 강원도 [곰배령]이었고 그 다음이 이번 출사지였습니다 백두산의 야생화가 그렇게 예쁘다고 합니다 이 또한 일교차 때문에 그런 게 아닐까 싶네요 그렇게 놓고 보면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 사시는 분들이 더 좋은 조건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 쪽에 사시는 이웃님들... 야생화 많이 담아보세요^^;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 더보기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한계령풀] [09 - 106]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입니다 우리나라 봄철 야생화 중에서 아마 가장 귀한 꽃이 아닐까 합니다 이 녀석이 어느 정도 귀한가 하면 [세계적인 희귀식물]이랍니다 강원도 한계령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강원도의 몇몇 높은 산에 소규모로 자생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본 느낌으로는 잘 보존만 하면 멸종되진 않겠구나 싶었는데 또 모르죠... 워낙 극성맞은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으니... 늘 말씀드리지만 귀한 것과 아름다운 건 별개 사항입니다 개인적인 느낌은 [아주 예쁘다]까지는 아니고 그냥 예뻤습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송림사 [팔공산에 있는 송림사] [콩과]의 [등]나무에서 핀 꽃입니다 예전에 풍경 사진을 찍을 때 가장 즐겨 사용한 렌즈가 Canon EF 16-35mm f/2.8L USM입니다 그런데 요즘 야생화만 주로 찍다 보니 렌즈 가방에서 먼지만 뒤집어쓰고 있는 게 미안해서 [석가탄신일] 즈음에 사찰사진도 찍을 겸 해서 들고 나갔습니다 그런데 [제 버릇 개 못 준다]는 속담처럼 광각렌즈를 마운트 했음에도 눈은 꽃을 찾고 있었으니 암튼 병은 병인가 봅니다^^; 대구 팔공산에 있는 [송림사] 마당 한 쪽에 등꽃이 예쁘게 피었더군요 정작 찍으러 간 사찰 사진은 찍는 둥 마는 둥하고 이 녀석 찍느라고 모가지야 아프던동 말던동 하늘만 올려다 봤습니다 한참 그러고나니 진짜 모가지 아픕디다 정말 뭐 하는 중생인지... ㅎㅎ 건강하세.. 더보기
금창초 외 3종 [꿀풀과 - 금창초] [09 - 102]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금창초]입니다 주로 중남부 지방에 흔하게 서식하는 녀석입니다 꽃 하나만 놓고 보면 [조개나물]이랑 많이 닮았는데 조개나물이 줄기가 서면서 꽃이 상하로 피는 반면 이 녀석은 땅에 깔리듯 핍니다 조개나물이 하늘 높은 줄 모른다면 이 녀석은 세상 넓은 줄 모르는...^^; ***** [09 - 103]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 [족도리풀]입니다 이 녀석의 이름이 족도리냐 족두리냐 설이 많은데 제가 갖고 있는 도감에 족도리로 더 많이 표기 돼 있어서 일단 저도 족도리로 갑니다^^; 흔하게 볼 수 있는 녀석으로 잎이랑 꽃줄기가 뿌리에서 바로 올라오며 꽃은 거의 땅에 붙다시피 핍니다 한약재로 쓰입다고 합니다 ***** [09 - 104] [.. 더보기
천남성 외 2종 [천남성과 - 천남성] [09 - 099]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천남성]입니다 이 과의 녀석들은 솔직히 [아름답다]랑은 전혀 안 어울리는 오히려 첫 대면에선 좀 괴상하고 섬뜩한 느낌입니다 ***** [09 - 100]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넓은잎천남성]입니다 천남성에 비해 좀 작고 가녀린 모양입니다 잎줄기 하나에 꽃대 하나가 전붑니다 ***** [09 - 101]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남산천남성]입니다 천남성 중에서 변이가 가장 심한 종인 것 같습니다 특히 꽃의 자주색은 개체마다 심하게 차이가 있으며 잎의 모양도 제법 많은 변이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건강하세요 어제 정말 신나는 출사였습니다 그곳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야생화천국]이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바람꽃 종류만 해도 [꿩 회리 .. 더보기
벼룩이자리 [석죽과 - 벼룩이자리] [09 - 111]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벼룩이자리]입니다 원래는 이 녀석 순서가 아니고 [09 - 099] [천남성]순서입니다 그런데 먼 길 가는 마당에 요상하게 생긴 녀석을 올리고 가자니 좀 그래서 부랴부랴 이 녀석을 [얼굴마담]으로 긴급 투입 시킵니다^^; 길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녀석입니다만 그건 어디까지나 야생화에 관심을 갖고 있을 경우이고 워낙 꽃의 크기가 작아서 신경 써서 일부러 찾지 않으면 만나기 힘듭니다 꽃 크기는 겨우 3 ~ 4mm 남짓이고 꽃받침이 꽃보다 오히려 더 큽니다 얼핏 보시기엔 수술이 5개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중으로 나와서 전부 10개입니다 건강하세요 출사 번개가 있어서 길을 나섭니다 이번 출사엔 또 어떤 녀석들과 만날지 기대가 됩니다 야생화를.. 더보기
민눈양지꽃 외 3종 [장미과 - 민눈양지꽃] [09 - 095]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민눈양지꽃]입니다 양지꽃이랑 차이점은 꽃잎 안쪽에 주황색 무늬가 있으며 전체적인 꽃의 색깔이 좀 연한 편입니다 양지꽃의 잎은 둥근 타원형인데 비해 민눈양지꽃은 마름모꼴로 각이 좀 졌습니다 ********** [09 - 096] [괭이밥과]의 여러해살이풀 [괭이밥]입니다 큰괭이밥과는 잎의 모양만 닮았을 뿐 꽃은 완전히 다른 모양입니다 꽃만 보면 전혀 다른 종인 것처럼 보이는 녀석입니다 ****************** [09 - 097]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딱지꽃]입니다 꽃은 얼핏 양지꽃이랑 비슷하지만 잎은 작은 [깃꼴 겹잎]으로 긴 잎자루에 많은 개수가 붙어 있습니다 잎 뒷면은 하얀 솜털이 많이 나 있습니다 **********.. 더보기
큰개불알풀 [사마귀 너 나 잡으려구?] [현삼과]의 한두해살이풀 [큰개불알풀]입니다 예전에 올렸던 녀석입니다 그런데 그 당시 촬영을 할 땐 몰랐는데 집에 와서 보니각도를 잘못잡는 바람에암술이 안 보이더군요 마침 그저께 등산을 갔다가 이 녀석이 있길래 몇 장 찍었습니다 마크로 렌즈로 이 녀석을 찬찬히 들여다 보다가 신기한 걸 목격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야생화들은 꽃가루받이가 끝나면 서서히 시듭니다 씨가 여물 즈음이면 꽃은 썩거나 말라서 떨어지는데 이 녀석은 그게 아니고 꽃가루받이가 끝나면 꽃이 마치 원격조정이라도 하는 것처럼 꽃받침에서 꽃이 슝~ 하고 떨어져 나가는 것이었습니다 아폴로 달 착륙선이 모체와 분리되는 것처럼요... 그런데 분리가 돼도 꽃이 완전히 낙하하는 건 아니고 꽃받침에서 분리만 됩니다 그런 다음 바람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