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고유종

점현호색 & 봉화현호색 현호색과 현호색속 여러해살이풀 점현호색 뭐랄까... 국가기관 사이에서도 아직 확실하게 정립이 안 된 집안입니다 사이트마다 통폐합이 중구난방이라 이게 정명인지 통한된 아이인지 헷갈리는 게 현호색 집안인데요 그나마 점현호색은 대체로 하나의 종으로 인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름은 보시다시피 잎에 흰점이 빼곡합니다 현호색 집안이 잎의 생김새로 분류를 많이 하기도 하는데 사실 잎의 변이가 너무 심합니다 점현호색의 경우 2회3출엽이 기본이나 어디까지나 기본이 그렇다는 겁니다 꽃은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제법 많은 개수로 피는데요 기본적으로 연한 보라색 ~ 청색으로 피는데 꽃 색깔 또한 상당히 다양하게 피는 편입니다 전국적으로 크게 어렵잖게 만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19 -.. 더보기
할미꽃 & (민)노랑할미꽃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여러해살이풀 할미꽃 참 정겨운 이름인데요 꽃대의 허리가 굽어 꽃이 아래를 향해 피는 것도 그렇고 암술대가 하얗게 변해서 마치 백발처럼 보이는 것도 그렇고 생긴 거랑 이름이랑 어쩜 이리도 잘 어울릴까요 지금까지 여기저기 참 많은 곳에서 할미꽃을 만났었는데요 여기처럼 많은 할미꽃이 집단으로 서식하는 자생지는 본 적도 없고 들은 적도 없었습니다 발 디디기가 미안할 정도로 온통 할미꽃이 지천이었습니다 2박3일 방사성요오드 치료하고 누구와의 접촉도 금해야 했었는데 그런 내게 꽃이나 보시라면서 슬며시 폰으로 지도를 보내준 고마운 꽃친구 덕분에 참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내게 절대 자생지 묻지 않으면서 항상 자생지 지도를 보내주는 고마운 친구입니다 우리나라 고유종 (국생종 기준) 국외반출 승인대.. 더보기
큰돌단풍 범의귀과 돌단풍속 여러해살이풀 큰돌단풍 이름이 흔히 알고 있던 돌단풍이랑 다르죠? 저도 사실 이 아이를 만나고 나서 그동안 봐오던 아이랑 뭔가 느낌이 좀 달라서 문헌을 찾아보고 나서야 큰돌단풍이라는 아이가 별도로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둘의 차이점은 단풍잎처럼 갈라지는 잎의 결각이 몇 개냐 인데 돌단풍은 5 ~ 7개고 큰돌단풍은 10개 이상입니다 돌단풍은 우리나라와 중국에 분포하고 큰돌단풍은 우리나라 중부이북에만 자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인데요 제가 관찰한 바로는 이 자생지에 대부분은 큰돌단풍이지만 돌단풍도 제법 섞여 있어서 이 둘을 이렇게 굳이 분류해야 하나...? 당연히 유전자 검사 등을 거쳐 분명한 차이가 있으니 분류를 했겠지만요 올 봄엔 비가 별로 오지 않아서 꽃들이 괜찮을까 걱정을 했었는데요 몇 곳.. 더보기
애기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 여러해살이풀 애기송이풀 아무래도 키가 작다고 붙인 이름인 듯 합니다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이 아이는 키라고 할 것도 없는 게 뿌리에서 바닥에 깔리는 잎이 곧바로 올라옵니다 꽃 역시 짤막한 꽃대 끝에 하나씩 피는데 전초에 비해 꽃은 제법 큰 편입니다 우상복엽(깃꼴겹잎)으로 갈라지는 잎은 잎자루가 10 ~ 15cm 정도고 작은잎은 타원형 혹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털이 엉성하게 나고 길이는 15 ~ 20cm입니다 꽃은 상하순으로 갈라지는데 상순은 끝이 휘어지게 서고 하순은 3개로 갈라지며 둥근 형태입니다 이 아이를 천마송이풀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북한 개성의 천마산에서 발견했다네요 자생지 여건이 제법 까다로운 아이로 물이 흐르는 계곡 주변에 주로 서식하는데 직사광선이 .. 더보기
산다는 것 다녀왔습니다 방사성요오드 검사결과 수술은 아주 잘 됐다고 하니 참 감사한 마음입니다 앞으로 관리를 잘해야겠지요 지난 열흘 남짓한 시간들이 제겐 참 색다르면서 의미있었습니다 사흘간 입원한 건 어차피 예정된 일이었고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딱 2번 겪은 일이니 일상이라고 할 것도 없는 아주 특별한 예외 사항이었고 정작 색다름은 퇴원 후 일주일간의 시간이었습니다 수화도 할 줄 모르는 후천성 벙어리 그런 내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살면서 어떤 상황에 놓이게 될지 마치 영화 예고편을 보는 것 같은 시간이었습니다 식당에 가서 식사 주문하고 무작정 아무 숙박시설 찾아가서 방을 빌리고 초면에 글을 써서 길을 묻고... 당초 계획은 시간이 충분하니 야생화를 찾아 전국일주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내 계획을 들은 가족들이 초상 .. 더보기
꼬마물봉선 봉선화과 한해살이풀 꼬마물봉선 꽃이 기본종인 물봉선에 비해 작다고 붙인 이름인데요 산지 숲 가장자리, 그러니까 햇빛이 적당히 들어오는 곳에 자생하는 아이입니다 고산성식물까지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높은 곳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전초는 15 ~ 70cm 정도로 크기가 다양한 편인데요 줄기는 녹색 또는 붉은색이 감돌기도 하며 대체로 가지를 안 치는 편이며 간혹 가지를 치는 개체도 있습니다 잎은 줄기에 어긋나게 달리고 길이 1 ~ 10cm 폭 0.5 ~ 5cm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분홍색이며 꽃 안쪽에 좀 더 진한색의 반점이 있고 꽃 전체의 길이는 2cm 전후로 기본종 물봉선의 1/2 정도로 훨씬 작으며 꽃뿔이 반 혹은 한번만 감깁니다 경북 모처가 현재까지 학계에 알려진 유일한 자생지입니다 우리나.. 더보기
둥근이질풀 쥐손이풀과 여러해살이풀 둥근이질풀 꽃의 지름이 20mm 정도로 10 ~ 15mm 정도인 기본형 이질풀에 비해 큽니다 우리나라 중부지방 고산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기본형 이질풀보다 전초도 더 큰 편입니다 다른 지역에도 분포하지만 강원도 고산에서 가장 편하게 만날 수 있습니다 전초는 1미터까지 자라고 대체로 곧게 서는 편인데요 원줄기는 네모지며 가지를 많이 치고 뿌리에서 여러 개가 올라와서 풍성합니다 마주나는 잎은 3 ~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전체적으로 털이 있습니다 꽃은 줄기 끝에 3 ~ 5개가 산형꽃차례로 피는데요 간혹 1개만 달리는 경우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진한 분홍색이나 순백색으로 피는 개체도 있습니다 암술은 밑 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고 밑 부분에 털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고유.. 더보기
구실바위취 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 구실바위취 어둡고 습기 찬 숲속에 사는데요 이름처럼 이끼 낀 바위를 선호하며 특히 개울가 바위가 최상의 자생 여건인 듯 합니다 물론, 주변의 풀밭 같은 곳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잎은 뿌리에서 바로 올라오는데 잎자루는 11 ~ 21cm 정도고 털이 빼곡하며 잎은 심장상 신장형이면서 작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잎의 너비는 5 ~ 9cm 전후이며 뒷면에 털이 있습니다 꽃은 뿌리에서 곧바로 올라온 25cm 전후의 꽃대 끝에 원추꽃차례로 핍니다 꽃받침 및 꽃잎은 각각 5개고 흰색이며 꽃받침은 침형이고 꽃잎은 거꿀피침형으로 꽃잎이 상대적으로 좀 더 길고 넓습니다 수술은 16개인데 수술대 중간이 더 넓으며 꽃밥이 주황색이라 화려한 편입니다 우리나라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건강하세요 더보기
한국사철란 난초과 늘푸른 여러해살이풀 한국사철란 아직 어떤 문헌에선 로제트사철란이라고 표기하고 있는데요 엄연히 한국사철란이라고 먼저 등록이 된 아이를 지명도가 좀 더 높은(?) 학자가 로제트사철란이라고 재등록을 한 경우입니다 무명가수의 곡을 유명가수가 슬그머니 가로챈...(고의는 아니려니 생각할랍니다) 기본적으로 지생(地生)하는 난초이며 그늘지고 좀 습한 지역을 선호합니다 잎은 4 ~ 8개 정도가 땅에 깔리듯이 방사형으로 나며 난형이고 길이 2 ~ 3cm 폭 1 ~ 2cm고 상록성입니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흰색의 뚜렷한 맥이 그물무늬 형태로 산재합니다 꽃은 제법 긴 꽃대 상단에 많은 개수가 이삭꽃차례로 피는데요 얼핏 흰색처럼 보이지만 갈색이 섞인 흰색이며 사촌인 사철란에 비해 꽃 크기가 훨씬 작습니다 꽃잎들 중 가.. 더보기
돌부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돌부추 이름처럼 암벽이나 바위 같은 곳에 주로 자생합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이 주 분포지역인데 경남 동해안 바닷가 암벽에서도 종종 관찰이 됩니다 볼 때마다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 놀라울 따름입니다 속이 꽉 찬 잎은 단면이 삼각형 형태이고 보통 3 ~ 8개 정도가 달리는데 선형으로 가늘고 길며 여건이 좋을 경우 길이는 20 ~ 50cm 폭은 2 ~ 7mm이나 열악한 환경에선 30cm 전후로 짧은 편인 것 같습니다 꽃은 줄기 끝에 상당히 많은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리는데요 주로 70 ~ 200개 정도의 꽃이 산형으로 모여 있으며 꽃잎은 넓은 타원형이고 꽃잎 뒷면엔 녹색의 주맥이 있으며 꽃잎은 5mm 전후입니다 우리나라 고유종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건강하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