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마음의 풍경 (사진)

고수 외 1종 [미나리과 - 고수] [09 - 175]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수]입니다 동유럽이 원산지이며 절이나 농가에서 약초로 재배했었는데 가끔 자연에서도 보이곤 합니다 ***** [09 - 176] [콩과]의 두해살이풀 [얼치기완두]입니다 이름의 유래는 [새완두]와 [살갈퀴] 중간쯤 된다고 해서 이것도 저것도 아니고 이거랑 저거랑 섞였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성격 테스트용으로 딱 좋은 피사체입니다 너무 작아서 콧김에도 흔들리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돌담마을 [팔공산 돌담마을] [팔공산]은 대구광역시 경북 영천시 그리고 경북 군위군 이렇게 3개 시도에 걸쳐 있는 제법 큰 산입니다 팔공산 너머엔 경북 군위군이 있는데 군위군으로 접어들어 팔공산을 거의 넘어갈 즈음에 [돌담마을]이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온 마을의 집들이 거의 다 돌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전에 몇 차례 소개를 드린 곳인지라 색다를 건 없습니다만 계절마다 혹은 날씨 여건에 따라 가끔 한번씩 놀러갑니다 이 사진은 지난 5월 26일 찍은 겁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지느러미엉겅퀴 외 1종 [국화과 - 지느러미엉겅퀴] [09 - 173]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지느러미엉겅퀴]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줄기에 지느러미처럼 생긴 날개가 있습니다 꽃은 일반 엉겅퀴에 비해 좀 작은 편이나 꽃은 훨씬 많이 핍니다 생식을 하기도 한답니다 ***** [09 - 174]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지칭개]입니다 엉겅퀴 종류 중에서 가장 볼품없는 꽃이 핍니다 얼핏 보기엔 갓 핀 녀석도 시든 것처럼 보입니다 여기 올리기가 민망할 정도로 못생긴 녀석입니다 이 녀석도 새순은 나물로 먹습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물꽈리아재비 외 2종 [현삼과 - 물꽈리아재비] [09 - 170]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물꽈리아재비]입니다 산의 물가나 습지에 주로 사는 녀석입니다 우리네 야생화 중에서 드물게 털이 없습니다 산에서 졸졸 흐르는 개울가를 찾아보시면 만날 수 있습니다 ***** [09 - 171]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 [털별꽃아재비]입니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입니다 같은 과의 [별꽃아재비]랑 차이점은 이름 그대로 털의 유무입니다 가운데 노란색을 [통꽃]이라고 합니다 ***** [09 - 172] [미나리아재비과]의 두해살이풀 [젓가락나물]입니다 얼핏 [뱀무]랑 혼동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뱀무는 꽃술이 아주 많은 점이 다르고 이 녀석은 미나리아재비랑 꽃으로는 구분이 어렵습니다 특이하게 줄기 속이 비어있다고 합니다 건강하세요 C.. 더보기
고운사 [2] [고운사 연수전] 어제에 이은 [고운사] 사진입니다 고운사는 그리 큰 사찰은 아니지만 부속 건물이나 암자가 제법 많은 곳이라서 건물마다 한 장씩만 올려도 사진이 제법 많은 곳입니다 두 번으로 다 소개하긴 그렇고 다음에 기회가 되면 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대충 눈치를 채셨겠지만 주변에 야생화가 제법 많은 곳이기도 합니다 일부러 가실 것 까진 아니지만 지나시는 길이라면 한번 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EF 16-35mm f/2.8L USM 더보기
초롱꽃 [초롱꽃과 - 초롱꽃] [09 - 169]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초롱꽃]입니다 옛날에 불을 밝히던 초롱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런저런 설명이 필요 없고 그냥 보면 이름이 저절로 생각나실 겁니다 흐린 날 만나는 바람에 제가 원하는 사진을 얻지 못했습니다 화창한 날이었으면 정말 불을 밝힌 초롱처럼 찍을 수 있었을 텐데 다음에 화창한 날 만나길 기대해 봅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고운사 [고운사 대웅보전] 경북 의성에 있는 [고운사]입니다 고운사에 대한 건 귀차니즘이 심한 탓에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설마 절간 구경하러 멀리까지 간 건 아니고 그럼 뭐 하러 갔느냐... 그건 비밀입니다 ㅎㅎ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EF 16-35mm f/2.8L USM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선개불알풀 [현삼과 - 선개불알풀] [09 - 168] [현삼과]의 한두해살이풀 [선개불알풀]입니다 얼핏 같은과의 [큰개불알풀]이랑 구분이 어렵습니다 그나마 차이점을 보자면 [큰] 녀석은 꽃자루가 있고 [선] 녀석은 없으며 [큰] 녀석은 잎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고 [선] 녀석은 톱니가 없습니다 꽃은 [큰] 녀석은 이름처럼 조금 더 큰 편입니다 이 녀석도 유럽이 원산지입니다 ***** [09 - 036] [현삼과]의 한두해살이풀 [큰개불알풀]입니다 예전에 올렸던 녀석인데 비교해서 보시라고 같이 올립니다 사진은 위의 [선] 녀석이랑 같은 날 찍은 겁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EF 180mm f/3.5L Macro USM 더보기
좀가지풀 외 1종 [앵초과 - 좀가지풀] [09 - 166]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좀가지풀]입니다 이름의 유래는 열매가 [가지]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졌답니다 주로 남부지방의 들이나 산기슭에 많이 삽니다 덩치에 비해 아주 정갈한 느낌이었습니다 ***** [09 - 167]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뱀무]입니다 [미나리아재비과]가 아닐까 했는데 의외로 장미과라고 하네요 뿌리잎이랑 줄기잎이랑 전혀 딴 녀석처럼 보입니다 뿌리잎은 [무잎]처럼 생겼고 줄기잎은 [쑥] 비슷합니다 개체별로 크기가 아주 다양한데 25 ~ 100cm 라고 합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자란 [난초과 - 자란] [09 - 165]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자란]입니다 주로 전남지방에 많이 사는 녀석으로 난(蘭) 중에선 특이하게 양지바른 곳을 좋아합니다 홍자색의 화려한 꽃이 피는데 드물게 흰색으로 피는 녀석을 [백화자란]으로 별도로 분류를 합니다 한방에선 덩이줄기를 한약재로 사용하며 요즘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건강하세요 저 지금 강원도 [큰산]에 갑니다^^; 지는 안 가려고 했는데 청계님이 가자고 하시네요 뻥입니다... 제가 가자고가자고 우겼습니다 그 먼 곳에 가는 이유는 한가지입니다 꼭 보고픈 야생화가 두 가지 있어서요 [두루미꽃]이랑 [기생꽃]입니다 지난주가 가장 적기였는데 어쩌면 좀 늦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좀 늦었다고 안 가면 나중에 두고두고 자꾸 아쉬움이 남을 것 같아서 [없으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