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마음의 풍경 (사진)

타래난초 [난초과 - 타래난초] [09 - 211]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타래난초]입니다 이름이 왜 타래난초인지 꽃을 자세히 보시면 금방 아실겁니다 제법 흔한 녀석이지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녀석입니다 이 사진을 찍은 날 워낙 많은 꽃을 만나는 바람에 집중해서 담질 못했습니다 포스팅하려니 좀 빈약한 것 같아서 어제 일부러 찾아 나섰었는데 뭐도 약하려면 없다더니... 못 찾았습니다^^; 다음에 만나면 차분하게 담아서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톱풀 외 2종 [국화과 - 톱풀] [09 - 208]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톱풀]입니다 이름은 톱처럼 생긴 잎에서 유래했습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꽃이 핀 줄기는 한방 재료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이름과 달리 꽃은 귀여운 편입니다 ***** [09 - 209]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추나물]입니다 주로 습지에 서식하는 녀석입니다 꽃이 풍성하게 피면 제법 볼만한데 막 피기 시작하는 녀석을 만났습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습니다 ***** [09 - 210]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기장대풀]입니다 주로 습지에서 사는 녀석으로 육안으로는 꽃이 피었는지 확인이 어려울 정도로 작습니다 사실 꽃이 맞는지조차 헷갈리는 모양이었습니다^^; 제법 귀한 녀석인 듯 합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더보기
닭의장풀 외 1종 [닭의장풀과- 닭의장풀] [09 - 206]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 [닭의장풀]입니다 왜 이름이 닭의장풀인지 꽃을 보시면 닭의 어떤 부분이 연상되실 겁니다 달개비 달개비풀 닭의밑씻개등의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얼핏 꽃잎이 2장인 것처럼 보이는데 위쪽 2장은 크고 둥근 푸른색이고 아래쪽 1장은 작고 흰색입니다 이 꽃을 자세히 보시면 아주 속임수에 능한 꽃입니다 수술이 전부 6개인데 그 중 3개는 꽃밥이 있는 진짜 수술이고 리본 모양으로 생긴 나머지 3개는 꽃밥이 없는 헛수술입니다 그런데 진짜 수술 3개 중 1개는 헛수술을 흉내내어 리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헛수술로 보이는 것이 전부 가짜가 아니라는 것처럼 보이기 위함 입니다 즉, 꽃가루받이 곤충을 두 번 속이는 고도의 전략입니다^^; 야생화계의 [타.. 더보기
중나리 외 2종 [백합과 - 중나리] [09 - 203]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중나리]입니다 일전에 올려드린 [털중나리]와 구분이 좀 어려운 녀석인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털이 없거나 약간 있습니다 그리고 제 경험적인 구분 방법은 털중나리는 꽃대가 줄기에서 어긋나서 여러개 피고 중나리는 줄기 끝에서 꽃대가 나란히 갈라지며 핍니다 꽃밥 색깔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중나리는 짙은 적갈색이고 털중나리는 황적색입니다 ***** [09 - 204]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참나리]입니다 이 녀석은 바닷가에서 찍었는데 별도로 이름이 있는진 모르겠습니다 나리 중에선 대형에 속하며 꽃도 아주 풍성하게 피는 편입니다 잎겨드랑이에 흑자색의 [살눈]이 달리는데 이건 영양분을 저장한 곁눈입니다 씨처럼 땅에 떨어져 싹을 틔운다고 합니다 .. 더보기
며느리밑씻개 [마디풀과 - 며느리밑씻개] [09 - 202]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며느리밑씻개]입니다 꽃은 앙증맞고 귀엽지만 이름의 사연이 참 슬픈 녀석입니다 며느리를 미워하는 시어머니가 가시가 나 있는 풀로 밑을 닦으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알다가도 모를 게 우리네 여인들입니다 내 며느리는 며느리 이전에 남의 집 귀한 딸이고 제 속으로 낳은 딸도 결국은 남의 집 며느리인데 뭐가 그렇게 못마땅해서 며느리를 못살게 구는지... 그랬거나 말았거나 봄에 돋는 새순은 나물로 먹습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8 EX DG 더보기
으아리 가족 [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 [미나리아재비과]의 [으아리]입니다 구분방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이 4 ~ 6개입니다 씨는 달걀형이며 암술대가 남아 있습니다 ***** [미나리아재비과]의 [참으아리]입니다 꽃받침 조각이 4개입니다 씨는 타원형이며 깃털 모양의 암술대가 남아 있습니다 ***** [미나리아재비과]의 [큰꽃으아리]입니다 위의 두 종류랑 크기가 완전히 다릅니다 꽃잎처럼 생긴 꽃받침 조각이 8개이며 흰색 혹은 연한 노란색으로 핍니다 간혹 원예용으로 키우는 [위령선]이랑 혼동을 하시는데 식물원 같은 곳에 있는 색깔이 다양한 녀석들은 거의 다 위령선입니다 위령선은 중국이 원산으로 꽃받침 조각이 4개 이상입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50mm F2... 더보기
자주개자리 외 1종 [콩과 - 자주개자리] [09 - 199]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자주개자리]입니다 이름에 자주가 들어가지만 색깔은 여러 가지라고 합니다 자주색 연자주색 흰색 노란색 등등... 유럽이 원산이며 잎은 얼핏 [붉은토끼풀]이랑 비슷한데 크기가 훨씬 작습니다 ***** [09 - 200]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삼]입니다 이름의 유래는 뿌리가 쓴데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잎줄기는 본줄기에 서로 어긋나서 나며 15 ~ 41개의 잎이 마주납니다 연한 녹색(연한 노란색이라고도 할 수 있음)의 꽃이 한쪽 방향으로 피는데 꽃의 개수가 아주 많습니다 일명 [도둑놈의지팡이]라고도 합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SIGMA MACRO 70mm F2.8 EX DG 더보기
노루오줌 [범의귀과 - 노루오줌] [09 - 198]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노루오줌]입니다 산의 좀 습한 지역에 주로 삽니다 비슷한 녀석으로 [숙은노루오줌]이라는 게 있는데 꽃이 흰색이거나 연한 분홍색이며 꽃이 옆으로 숙은 모양으로 피는 게 차이점입니다 그리고 식물원이나 수목원 등에 [노루오줌]이라고 명찰이 붙은 건 대부분 [아스틸베]라는 개량된 원예종으로 노루오줌에 비해 작은 편입니다 이름이 좀 뭣하긴 한데 그렇다고 지린내가 나는 건 절대 아닙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EF 24-70mm f/2.8L USM 더보기
자주솜대 외 2종 [백합과 - 자주솜대] [09 - 195]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자주솜대]입니다 연한 녹색으로 피었다가 자주색으로 서서히 변합니다 이 녀석은 일종의 [도촬]입니다 지난번 태백산에 갔을 때 등산로에 줄을 쳐놨는데 줄 너머에 이 녀석이 있어서 몰래 상체를 밀어 넣고 찍었습니다^^; ***** [09 - 196]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 [컴프리]입니다 유럽 원산으로 차(茶)랑 사료용으로 기르던 것이 퍼져 나간 것입니다 이걸 번호를 달아서 올리느냐 마느냐 한참 고민을 했는데 일단 야생에서 찍은 거라서...^^; ***** [09 - 197] [겨자과]의 한두해살이풀 [콩다닥냉이]입니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입니다 둥글고 납작한 열매가 달리는데 씹어보면 매콤한 맛이 납니다 꽃이 아주 작아서 연습용으로 .. 더보기
큰까치수염 외 1종 [앵초과 - 큰까치수염] [09 - 193]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큰까치수염]입니다 같은과의 [까치수염]이랑 많이 헷갈리는 녀석인데 까치수염은 제법 귀한 녀석이고 이 녀석은 아주 흔합니다 우리가 만나는 녀석은 거의 큰까치수염입니다 까치수염에 비해 잎이 넓으며 줄기와 잎에 털이 거의 나지 않는 점으로 구분합니다 ***** [09 - 194]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 [사상자]입니다 일명 [뱀도랏]이라고도 하며 숲속 그늘에서 주로 만날 수 있습니다 꽃도 아주 작은 녀석이 그늘에 살고 있는지라 예쁘게 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런 녀석도 있다는 의미로 올리는 것이지 전혀 귀하지도 않고 감상가치가 높은 것도 아닙니다 건강하세요 Canon EOS 1Ds MarkⅢ + EF 24-70mm f/2.8L US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