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3

너도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너도바람꽃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나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동쪽지역에 좀 더 자생하는 것 같은데 덕분에 이른 봄 어렵잖게 꽃 고픔을 달래곤 합니다 자생지의 고저에 대한 까탈스러움은 없는 것 같고 석회암지대를 좋아하며 낙엽수 숲 속이나 주변에서 자라고 음지를 선호하나 이 아이가 개화할 시기엔 목본에 잎이 나기 전이라 음지는 드뭅니다 남부지방은 2월 중 ~ 하순부터 개화하는데 이 사진은 대구 인근의 제법 고산지역임에도 3월 초순에 개화가 시작됩니다 전초는 15cm 정도까지 자라는데 다른 바람꽃들에 비하면 좀 왜소한 편이지만 그래도 한 속의 대표입니다 근생엽은 길이 5 ~ 10cm의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며 측열편은 다시 2개씩 깊게 갈라지고 각 열편은 우상으.. 더보기
노루귀 그리고...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여러해살이풀 노루귀 우리나라 전역(제주도 제외)에서 아직은 어렵잖게 만날 수 있지만 미래를 장담하기 힘든 아이입니다 각지의 숲속 낙엽수림 아래의 부식질이 많고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데 번식력도 괜찮고 특별한 질병도 없어서 그냥 놔두면 엄청나게 번식할 텐데 탐욕에 찌든 이놈 저년 등산이네 합시고 산에 왔다가 보이는 족족 캐가니... 제주도와 남해안 도서지방엔 크기가 작고 꽃과 잎이 같이 올라오는 새끼노루귀가 있고 울릉도엔 덩치가 크고 상록성인 섬노루귀가 있는데 둘 다 우리나라 고유종입니다 뿌리에서 잎이랑 꽃대가 곧바로 올라오는데 잎자루나 꽃대는 10 ~ 15cm 전후입니다 잎은 길이 5cm정도로서 모두 뿌리에서 돋고 긴 엽병이 있어 사방으로 퍼지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3.. 더보기
광대나물 꿀풀과 광대나물속 두해살이풀 광대나물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아주 흔한 아이지만 기후변화 생물지표종(CBIS ;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에 포함되는 아이입니다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생물이 기후변화로 인해 계절에 따라 활동 분포역 개체군 크기 변화 등이 뚜렷하거나 뚜렷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지표화 하여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조사관리가 필요한 생물종 CBIS는 2010년 7월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이 구상나무 등 100종을 지정한 바 있고 2017년 12월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100종과 30 후보종으로 개정하였습니다 전초는 높이 10 ~ 30cm이며 네모지고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뭉쳐나고 원줄기는 가늘며 자주빛이 돕니다 잎은 마주.. 더보기
별꽃 석죽과 별꽃속 두해살이풀 별꽃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식물 중 하나일 정도로 너무 흔하지만 이름도 예쁘고 비록 작지만 꽃도 참 귀여운 아이라서 좋아합니다 길가 공터 밭두렁 등 햇볕이 잘 들고 저지대의 습기가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만날 수 있는 아이로 도심지 보도블록의 틈 사이에서도 잘 자랄 정도로 적응력도 아주 강한 아입니다 사촌인 쇠별꽃이랑 비슷하나 분명한 차이점도 있어서 의외로 구분이 쉬운데 쇠별꽃은 두해살이 혹은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전초는 10 ~ 20cm(쇠별꽃은 20 ~ 50cm) 정도로 자라는데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나와 모여나기 한 것처럼 보이고 한쪽에만 연한 털이 줄지어 있습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1 ~ 2cm 너비 8 ~.. 더보기
할미꽃 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여러해살이풀 할미꽃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양지바른 곳을 좋아해서 산지의 풀밭이나 무덤가를 자생지로 선호하는 아이입니다 꽃이 땅을 향해 고개를 푹 숙일 정도로 허리가 휘었고 열매에 마치 백발처럼 암술대가 깃처럼 변해서 남아 있는 등등으로 지은 이름인 것 같습니다 야생에서 만나기가 만만찮을 정도로 훼손이 심한데 꽃집에 가면 싼값에 구할 수 있는데 굳이 기름 값도 안 나올 건데 왜 그러는지... 전초는 열매가 달릴 즈음이면 30 ~ 40cm 이상으로 자라기도 하나 기본 줄기는 없고 꽃자루가 줄기처럼 자랍니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5장의 소엽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며 깊게 갈라지고 전체에 긴 백색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습니다 밑 부분의 소.. 더보기
갯버들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낙엽활엽관목(낙엽 떨기나무) 갯버들 여기에 최근 몇 년간 목본류를 올린 적이 거의 없었습니다 하찮은 능력에 하나라도 좀 꼼꼼하게 하자는 의미로 초본류에만 집중을 했던 겁니다 예전엔 목본류에도 번호를 붙이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 아이는 만날 때 마다 꼭 몇 장이라도 담아두곤 합니다 뭐랄까요... 내겐 봄이 왔음을 알려주는 상징적인 아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물론, 화려하게 꽃을 피우는 아이들도 많습니다 노란 산수유도 예쁘고 하얀 목련이랑 청매도 예쁘고 진분홍 홍매도 예쁘지요 그렇지만 그런 아이들은 인간의 극진한 보호 속에 피는 아이들이고 갯버들 이 아이는 아무도 보살피지 않는 어느 개울가에 자리 잡고 차가운 긴 밤을 인내하고 피어납니다 비록 꽃잎도 없는 어설픈 꽃이지만 볼수록 대견한.. 더보기
꿩의바람꽃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꿩의바람꽃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아이로 바람꽃 중에선 가장 흔한 편에 속합니다 숲속 또는 산기슭이나 숲 가장자리 등등 야생화들이 어울려 사는 곳이라면 거의 만날 수 있는 아이로 흔하지만 깔끔한 느낌이며 바람꽃 중 꽃잎(실제론 꽃받침)이 가장 많은 편입니다 이름은 꽃이 활짝 피었을 때 마치 꿩이나 닭들이 목의 깃털을 세운 것처럼 생겼다고 붙인 게 아닐까 합니다 전초는 10 ~ 20cm이나 가지를 치지 않으며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랍니다 근생엽은 길이 4 ~ 15cm의 엽병이 있고 이회삼출겹잎이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성글게 있고 총포조각은 3개이며 짧은 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 ~ 35mm 너비 5 ~ 15mm입니다 뿌리잎은 보통 연한 녹.. 더보기
변산바람꽃 그리고...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변산바람꽃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서해안 해안가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아이로 강원도 설악산에도 자생한다는 이야기가 있긴 한데 제 주변에도 제법 많아서 거기까진 확인해보지 않았습니다 이름은 처음 발견된 지역명이며 그곳(?)을 가봤는데 다른 자생지와 큰 차이는 없었으며 산지 숲속의 계곡 주변 및 숲 가장자리의 전석지가 가장 선호하는 자생지 여건인데 문헌을 살펴보면 꼭 전석지가 나옵니다 전석지의 사전적 의미는 암반에서 떨어져 물 따위의 작용으로 원위치에서 밀려 나간 돌이 쌓여 있는 곳을 뜻하며 이런 장소에 변산바람꽃이 유난히 밀생하는 것 같습니다(즉, 과습을 싫어하는 것 같음) 전초는 완전히 자랐을 경우 10 ~ 30cm 정도이나 꽃이 필 당시엔 5 ~ 10cm 정도이고 털.. 더보기
산부추 그리고... [찬조출연 - 용담 등등] 백합과 부추속 여러해살이풀 산부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저지대 풀밭부터 해발고도 1,300m 정도의 높은 산지의 건조한 능선부나 경사진 바위 지대 등에 자생합니다 얼핏 참산부추랑 상당히 헷갈리는데 산부추는 잎의 단면이 삼각형이고 참산부추는 잎의 밑 부분이 꽃대를 둘러싸고 편평해서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의외로 거꾸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저 역시 한동안... ㅎ) 확인한답시고 2 ~ 3개 밖에 없는 잎을 굳이 자르지 말고 줄기 근처의 잎을 살며시 만져보면 확인 가능합니다(산부추는 그나마 잎이 6개 정도까지 달리기도 함) 전초는 30 ~ 100cm 정도이나 대부분 30 ~ 50cm 정도인데 엄밀히 구분하면 꽃줄기(꽃대)의 길이입니다 잎은 3 ~ 6장 정도고 선형이며 길이.. 더보기
미역취 그리고... 국화과 미역취속 여러해살이풀 미역취 이 아이는 며칠 전에 올렸었습니다 며칠 전에 올렸으면서 왜 또 올리느냐고 하시겠지만 지난번 아이랑 비교해보면 전혀 다른 종 같은 느낌을 줍니다 옛날 중국의 어떤 엄마가 자식을 위해 밥 먹듯 이사를 했다는 이야기가 있지요? 그건 그만큼 환경이 중요하다는 건데 식물들 세상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의 종이 어떤 환경에 뿌리를 내렸느냐에 따라 절대 같은 종이라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겉보기에 전혀 다른 종처럼 보입니다 그 환경이 바닷가라면 더구나 바람 거세고 추운 동해안이라면 같은 종이 맞나 싶을 정도로 시각적인 차이가 뚜렷해집니다 미역취는 정상적인(?) 경우라면 1미터에 육박할 정도로 곧게 자라는데 바람 심한 바닷가에선 어림도 없습니다 사실 이 아이는 바닷가에서 그리 흔하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