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갯가식물

갯완두 콩과 연리초속 여러해살이풀 갯완두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국 해안가에 자생하는 갯가식물입니다 바닷가 모래땅을 선호하지만 동해안의 경우 특성상 모래땅이 타 지역보다 흔치 않은데 자갈밭이나 갯바위 주변에서도 곧잘 살아갑니다 생긴 건 연약해 보이지만 바닷가 그 땡볕에도 굳세게 살아가는 강인한 아이입니다 원줄기는 능각이 있고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문헌상엔 길이 20 ~ 60cm라고 해놨는데 더 길게 자라는 경우도 흔합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짧고 3 ~ 6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밑이 뭉뚝하거나 다소 쐐기모양이고 길이 15 ~ 30mm 너비 10 ~ 20mm입니다 잎 가장자리엔 톱니가 없으며 줄기 위쪽에서는 잎 끝이 변한 덩굴손이.. 더보기
지채 지채과 지채속 여러해살이풀 지채 우리나라 제주도를 포함한 서남해안에 주로 분포하며 동해안에도 몇몇 곳에 자생하나 주 분포지역은 서해안인 것 같습니다 이 아이는 완벽한 갯가식물로 제가 보기엔 염분에도 어느 정도는 내염성을 가진 것 같고 북반구 온대와 한대 지역에도 분포하는 걸 보면 의외로 추위에도 강한가 봅니다 이명에 갯장포라는 게 있는데 장포는 백합과로 전체적인 생김새 특히 꽃은 전혀 다르게 생겼는데 왜 그런 이명이 생겼을까요 뿌리에서 잎이 곧바로 나오고 잎 사이에서 꽃대가 올라오는 형태이고 묵은 잎의 엽병에서 남은 섬유가 겉을 덮고 여러 대가 한 포기에서 나옵니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 나오며 가늘고 긴 철사처럼 생겼고 길이 10 ~ 30cm 지름 1.5 ~ 4mm정도며 선형으로서 윗부분이 약간 편평하고 .. 더보기
해란초 현삼과 해란초속 여러해살이풀 해란초 우리나라 동해안 바닷가에 주로 분포하는데 갯가식물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이름은 해란초(海蘭草 - 바닷가에 사는 난초처럼 예쁜 꽃)라는 뜻인데 내가 보기엔 예쁜 블라우스 입은 돌고래처럼 보입니다 ㅎ 같은 갯가식물인 꿀풀과 참골무꽃이랑 얼핏 느낌이 제법 닮았는데 개인적으로 둘 다 좋아하는 아이들입니다 전초는 높이 15 ~ 40cm이고 전체에 분백색이 돌며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고 원줄기가 둥근데 길이는 짧지만 덩굴성식물처럼 생겼습니다 잎은 마주나기 하거나 3 ~ 4개가 돌려나기 하지만 윗부분에서는 흔히 어긋나기 하고 길이 1.5 ~ 3cm 너비 0.5 ~ 1.5cm로 피침형이며 엽병은 없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뚜렷하지 않은 3맥이 있습니다 잎을 포함한 전체가.. 더보기
갯까치수염 앵초과 두해살이풀 갯까치수염 갯가식물입니다 앵초과라는 분류로만 보자면 여리지 않을까하는 선입견이 들지만 땡볕에 뜨겁게 달아오르는 갯바위에서 꿋꿋하게 살아갑니다 이 아이의 생존법은 두꺼운 잎에 있습니다 마치 다육이처럼 두꺼운 잎에 수분을 저장했다가 비가 올 때까지 버티는 전략입니다 지름 1cm정도의 하얀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며 꽃은 끝이 5개로 갈라지는 통꽃이며 수술도 5개입니다 앵초과답게 참 예쁘게 생긴 꽃입니다 ☆ 위의 아이는 경북 동해안에서 데려왔고 이 아이는 남해와 동해의 경계인 부산에서 데려왔는데 제주도와 울릉도에도 있다고 합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갯봄맞이 & 지채 앵초과 여러해살이풀 갯봄맞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바닷가에 사는 갯가식물입니다 식물이 소금이랑 상극인 건 널리 알려진 사실인데 어떻게 바닷가에 사는지 신기합니다 실제로 보면 온통 소금끼가 잔뜩 묻은 채 살고 있습니다 일단 덩치가 아주 작습니다 전초가 자그마한데다가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꽃이 피는데 꽃자루가 없어서 더 작아 보이며 그래도 앵초과답게 꽃은 귀엽고 예쁩니다 *** 빨간색이 기본형이고 흰색은 변이종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자생지 면적이 워낙 좁다보니 마구 뒤섞여 살고 있으며 흰꽃의 경우 줄기가 녹색이며 잎도 더 맑은 녹색입니다 얘들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게 이 작은 덩치로 이 열악한 환경에서 어떻게 살아갈까입니다 갯바위 위 손바닥만한 땅...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 14 - 1238.. 더보기
부산꼬리풀 현삼과 여러해살이풀 부산꼬리풀 부산 인근 바닷가에서 처음 발견된 녀석으로 바닷가에 사는 갯가식물의 대표적인 특징인 키가 작고 아담하게 생긴 녀석으로 2004년 학계에 보고되었으나 아직 국생종이나 국가표준식물목록엔 등록이 안 됐습니다 예년엔 그래도 이곳에 가면 그나마 제법 많은 개체수를 볼 수 있었는데 올핸 지독한 가뭄 때문에 한참을 찾아야 겨우 구경할 수 있더라구요 그나마 여러해살이풀이니 망정이지... 건강하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