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적색목록 준위협종

깽깽이풀 매자나무과 깽깽이풀속 여러해살이풀 깽깽이풀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는데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에서 만났으니 그런 것 같습니다(나머지 지역은 굳이 찾으러 갈 필요가 없음) 문헌에서 북쪽으로 터진 계곡 입구의 동향 사면이 주요 생육지로 약간 습윤하고 반그늘인 곳을 좋아하는 성질이 있다고 하는데 제가 만나본 자생지들도 지역에 상관없이 얼추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이름이 좀 얄궂은데 농촌에 한창 바쁠 때 한량들이 이 아이를 보러오는 게 짜증나서 붙인 이름이라는데 글쎄요... 개인적으로 그 정도는 아닌 거 같은데...^^ 근경은 짧고 옆으로 자라며 근경에서 여러 잎이 나오고 원뿌리는 단단하며 잔뿌리가 많고 원줄기는 없습니다 잎은 꽃이 질 무렵(종종 같이 올라오기도 함 - 이 사진을 찍은 자생지는 거의 .. 더보기
선백미꽃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풀 선백미꽃 이론적으로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나 백두대간을 대표하는 고산지역 몇몇 곳에 자생하는 제법 희소한 아이입니다 산자락의 햇살과 습기가 적당한 곳을 선호하며 조건이 맞으면 제법 많은 개체수가 밀집해서 자생하는데 자생지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녹색을 지닌 아이로 개인적으로 은근히 좋아하는 아이입니다 전초는 높이 30 ~ 60cm 정도로 자라며 줄기는 곧추서고 전체에 짧은 털이 빽빽이 있는데 얼핏 보면 표가 안 납니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6 ~ 10cm 폭 3 ~ 6cm이며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이 집안은 이 아이처럼 곧게 서는 종이 있으면서 박주가리처럼 완전히 덩굴로 뻗는 아이도 있는 좀 .. 더보기
방울새란 3종 난초과 방울새란속 여러해살이풀 방울새란 이론적인 자생지는 우리나라 전역이나 개체수도 그렇고 자생지도 그렇고 그다지 흔하지 않습니다 난초과 중에선 숲속 그늘이 아닌 직사광선을 은근히 즐기는 아이로 햇볕이 잘 드는 산지의 풀밭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지생란이나 개발 등으로 습지가 점점 줄어들면서 이 아이도 덩달아 위기입니다 사촌인 큰방울새란에 비해서 전체가 작으며 꽃은 색이 연하고 거의 벌어지지 않으며 잎술꽃잎의 곁갈래가 작은 걸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는 문헌상 10 ~ 25cm이나 실제로 보면 15cm를 넘는 아이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잎은 줄기 가운데 부분에 한 장이 달리며 조금 두껍고 도피침형 또는 좁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3 ~ 7cm 폭 0.5 ~ 1.2cm이.. 더보기
원지 원지과 원지속 여러해살이풀 원지 사진으로 얼핏 보기엔 참 보잘 것 없는 외모지만 어엿하게 한 과를 대표하는 아이입니다 석회암지대 저지대 풀밭을 선호하며 직사광선을 아주 좋아하는 아이로 문헌에선 아주 희소하다고 하는데 실제로 만나기가 만만찮은데 덩치가 작다는 것도 몇몇 이유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문헌마다 자생지에 대해 통일이 안 되게 적어놨는데 이런 아이는 보존이 상당히 중요해서 함부로 떠들기가 그렇습니다 뿌리는 굵고 땅속 깊이 들어가며 그 끝에 줄기가 여러 대 모여 나고 높이 20 ~ 30cm이고 원줄기 개념은 없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선형으로 길이 1.5 ~ 3cm 폭 0.5 ~ 1mm 엽병이 없으며 다소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끝은 뾰족한데 실제로 보면 이걸 잎이라고 해야 .. 더보기
꼭지연잎꿩의다리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여러해살이풀 꼭지연잎꿩의다리 우리나라 강원도 경북의 백두대간 몇몇 지역에 소량이 자생하는 희귀한 아이입니다 국생종에선 설악산 이북에 분포한다고 했으나 그건 개뻥이고 강원도 석회암 지대의 물가 바위지대 풀밭등 그늘이 적당한 곳에 분포하며 강원도 남부지역 및 경북 북부지방에도 분포합니다 잎의 생김새가 연꽃의 잎처럼 생겼다고 붙였나 본데... 아무리 봐도 뭔 연잎 싶을 뿐입니다 꽃차례를 제외한 전초는 대략 10 ~ 30cm이나 더 큰 아이도 많고 털이 없으면서 가늘어서 가냘픈 느낌입니다 잎은 엽병이 길고 1 ~ 2회 3출엽으로 작은 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둥글고 작은 잎자루가 밑에서부터 1/4정도 올라가서 달리므로 방패 같고 가장자리에 둥근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길이가 3cm를 넘지 않.. 더보기
백작약 그리고... 작약과 작약속 여러해살이풀 백작약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나 자생지나 개체수가 아주 희소한데 갈수록 만나기가 더 어렵습니다 숲 속 나무그늘의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사질양토를 선호하나 건조한 곳을 좋아한다는 문헌도 있는데 딱히 그런 것 같진 않은데 모르죠 흰색의 꽃이 핀다고 붙인 이름이며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면 털백작약으로 분류합니다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굵고 육질이며 외근이 분지하고 분지된 뿌리에서 잔뿌리가 내리며 이 덩이뿌리를 약초꾼들이 아주 좋아합니다 잎은 3 ~ 4개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며 3개씩 2회 갈라지고 소엽은 긴 타원형이거나 거꿀달걀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 ~ 12cm 폭 3 ~ 8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습니다 전초는 높이 40 ~.. 더보기
께묵 국화과 께묵속 여러해살이풀(두해살이풀) 께묵 전국에 분포하나 자생지나 개체수가 아주 희소한 습지식물입니다 습지나 도랑 근처의 풀밭에 주로 자생하는데 문헌에 따라 여러해살이풀 혹은 두해살이풀로 분류를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여러해살이풀일 가능성이 더 높을 것 같습니다 습지라는 자생지 여건상 인간이 조금만 간섭해도 곧바로 사라지는 게 습지인지라 습지식물의 운명은 그야말로 바람 앞 촛불입니다 줄기는 높이 50~100cm(실제로는 150cm 정도까지 자라는 듯)이고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새싹을 냅니다 뿌리잎(근생엽)은 모여나고 꽃이 필 때 스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 ~ 40cm 너비 5 ~ 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 더보기
쑥방망이 그리고... 국화과 금방망이속 여러해살이풀 쑥방망이 문헌상으론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고 돼있으나 자생지와 개체수가 아주 희소합니다 자생지로는 산비탈 관목림 숲의 변두리와 풀밭을 선호하는 편이며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한다고는 하나 분포지도가 거의 텅 빌 정도로 흔치 않은 아이입니다 민간요법에 아주 유용하다는 게 개체수의 희소함에 일조 한 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전초는 높이 60 ~ 1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희미한 세로 능선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많이 칩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있고 모여 나며 로제트로 벌어지고 난상 타원형으로 털이 없거나 맥줄에만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입니다 줄기잎은.. 더보기
고추나물 & 채고추나물 물레나물과 물레나물속 여러해살이풀 고추나물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데 분포지도를 보면 없는 곳이 없을 정도입니다 제주도와 울릉도는 물론이고 서남해안 도서지방에도 분포하며 고저차에 크게 상관없이 습기가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작 찾으려고 하면 이게 만만찮게 잘 안 보이는 녀석이기도 합니다 전초는 20 ~ 60cm 정도 자라고 원줄기는 둥글며 곧게 서고 녹색이며 가지를 칩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서로 접근하여 원줄기를 얼싸안고 끝이 둔하며 난상 피침형 혹은 긴 난형이고 길이 2 ~ 6cm 너비 0.7 ~ 3cm고 잎 앞면에 검은 반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잎자루가 없이 줄기를 살포시 감싸는 형태에 생김새도 유순해서 보고 있으면 귀여운 느낌이 듭니다 꽃은 당일 쓰러지며 지름 15 ~ .. 더보기
층층둥굴레 백합과 둥굴레속 여러해살이풀 층층둥굴레 둥굴레는 야생에서 아주 흔하게 만날 수 있는데요 우리가 흔히 둥굴레차라고 마시는 게 둥굴레의 뿌리를 가공해서 만드는 것으로 꾸준히 드시면 안색과 혈색을 좋게 한답니다 둥굴레는 종류도 제법 많으며 전문적으로 재배하는 농가도 많습니다 층층둥굴레는 둥굴레 중에선 키가 가장 큰 편에 속하는데요 전초는 평균 90cm 정도까지 자라며 가지는 거의 치지 않고 곧게 자라는 편이며 줄기가 제법 굵습니다 긴타원형이면서 어긋나게 달리는 일반 둥굴레의 잎에 비해 좁은 선형의 잎이 여럿 돌려나기 합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2개씩 제법 많이 피는데요 이렇게 다른 사촌들보다 꽃이 훨씬 많이 피는데 왜 이 아이만 둥굴레 중에서 개체수가 가장 희소해서 한동안 멸종위기종 2급으로 등록돼 있었을까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