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마음의 풍경 (사진)

큰괭이밥 & 애기괭이밥 [괭이밥과 - 큰괭이밥 - 2010 05 09]괭이밥과 여러해살이풀 큰괭이밥이름처럼 괭이밥 중에서 꽃이 가장 큽니다꽃이 먼저 피고 나중에 잎이 올라오는 게 대체적인데간혹 잎이랑 꽃이 같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 [괭이밥과 - 애기괭이밥 - 2010 05 16]괭이밥과 여러해살이풀 애기괭이밥깊은 산 계곡 쪽이나 높은 산 바위 지역에 주로 살며이름처럼 작고 귀여운 꽃이 핍니다제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야생화 중 하나입니다어쩌면 가장 좋아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 녀석을 보려고 몸이 안 따라줌에도 깡으로 태백산을 해마다 오릅니다저 작은 체구로 그 높은 산 바위틈에서 꽃을 피우는 걸 보면넓고 좋은 땅 다 놔두고 하필이면 왜 이런 곳에... 라는 안타까움이 절로 생깁니다뭣보다 작년에 비해 .. 더보기
동행 그리고 ... [동행 1 - 2010 05 20]동행(同行)같이 간다인간은 결코 혼자일 순 없습니다오죽하면 악연(惡緣)도 인연(人緣)이라고 했을까요늘 저랑 함께 꽃을 찾아 나서는 청계님 삶님 이십니다마산에 계시는 청계님전주에 계시는 삶님대구에 사는 저사진이라는 하나의 이유로아무 조건이나 이유를 불문하고 누군가의 호출에 새벽을 달리는 세사람입니다30년 40년 된 붕알친구 보다 더 자주 만나는 인연입니다참 고맙고 감사한 인연...아무쪼록 두분이 오래오래 건강하셨음 좋겠습니다 ***** [간월재 - 2010 05 20]간월재이번에 처음 가봤는데꽃보다 풍경이 더 아름다운 곳이었습니다이웃 분들이 여기 사진을 올리실 때 어딜까 했었는데그 앞에 서니 여기구나 싶을 만큼 너무나 정겨운 느낌이 들었습니다 ***** [동행 2 - 20.. 더보기
등 외 2종 [콩과 - 등 - 2010 05 12]10 - 418콩과 등공원이나 벤치 같은 곳에 흔하게 조경용으로 심는데중부 이남의 산에서 만날 수 있는 녀석입니다향기가 아주 좋으며드물게 흰색 꽃이 피는데 흰등이라고 합니다 ***** [으름덩굴과 - 으름덩굴 - 2010 05 12]10 - 419으름덩굴과 으름덩굴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며열매는 속살이 하얗게 익는데 제법 맛있습니다봄에 꽃을 보면 나중에 열매를 먹어봐야지 하는데아직 산에서 한번도 못 먹어 봤습니다^^ ***** [현삼과 - 오동나무 - 2010 05 28]10 - 420현삼과 오동나무성장 속도가 아주 빠르다고 합니다나뭇결이 아름답고 갈라지거나 뒤틀리지 않아 옛날부터 가구나 악기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딸을 낳으면 이 나무를 심는다는 옛 이야기도 있구요^.. 더보기
씀바귀 외 3종 [국화과 - 씀바귀 - 2010 05 13]10 - 415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씀바귀어쩌면 이즈음에 가장 흔한 꽃이 아닐까 합니다아무리 척박한 곳이라도 끈질기게 살아가는 녀석이지요그렇지만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참 예쁘게 생긴 녀석입니다얼핏 고들빼기랑 헷갈리는데가장 쉬운 구분 방법은 꽃잎(혀꽃이라고 함)의 수가 이 녀석은 5 ~ 11개 정도고고들빼기는 훨씬 많으며 키도 고들빼기가 더 큽니다간혹 흰꽃이 피는 게 있는데 흰씀바귀라고 별도로 구분합니다어린잎과 뿌리를 식용 및 약용으로 씁니다 ***** [국화과 - 좀씀바귀 - 2010 05 26]10 - 416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좀씀바귀이름처럼 키가 작습니다(약 15cm 이내)씀바귀가 줄기에 여러 개의 꽃이 피는 반면이 녀석은 꽃줄기 하나에 꽃이 하나씩 핍니다.. 더보기
피나물 & 동의나물 [양귀비과 - 피나물]양귀비과 여러해살이풀 피나물깊은 산 숲속에서 주로 살며그다지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으며줄기나 잎을 자르면 붉은 액이 나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간혹 매미꽃이랑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피나물은 줄기의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와서 피고매미꽃은 뿌리에서 꽃줄기가 곧바로 올라와서 핍니다이름에 나물이 들어가지만 독성이 있다고 합니다함부로 채취하지 마시고 정 드시려면 물에 잘 우려서...^^ ***** [미나리아재비과 - 동의나물]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 동의나물습기를 좋아하는 녀석으로산의 습지나 개울가에 주로 삽니다얼핏 피나물과 비슷한 느낌이지만피나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꽃이나 잎이 두껍다는 느낌을 주고꽃이나 잎의 색 또한 상대적으로 진한 편이며 광택이 납니다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은 .. 더보기
돌단풍 & 계곡 [범의귀과 - 돌단풍]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 돌단풍이름은 잎을 보시면 금방 아실 겁니다잎이 단풍나무랑 거의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닮았습니다흰 바탕에 붉은 끼가 살짝 도는 꽃이 모여 피는데이런 걸 유식한 말로 원추화서라고 한다네요 (뭔 말인동 나도 몰라요)그나마 좀 이해가 가는 건 일경다화입니다 (제주한란처럼 꽃줄기 하나에 여러 개의 꽃이 피는 것)비슷한 녀석이 하나 있는데 큰돌단풍입니다구분 방법은 큰돌단풍은 잎이 12개 내외로 갈라진답니다이 녀석에게 참 미안합니다지난 4월 4일 동강 출사 때 찍었다고 4월 30일 소백산 출사에선 대충 찍었습니다그런데 4월 4일에 찍은 녀석은 어쩌다보니 올리지도 못했고... ***** [누구시더라...^^]동강에서 찍었다고 돌단풍은 대충 찍고계곡을 흐르는 개울물에 정신이 팔.. 더보기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 한계령풀]매자나무과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강원도 한계령에서 처음 발견되었다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우리나라엔 강원도 지방에서 소수로 만날 수 있으며중국 러시아 몽고 등지에도 있다고 합니다아무래도 북방계 식물이 아닐까... 짐작입니다꽃이 처음 필 땐 제법 예쁜데꽃이 피면서 줄기도 같이 길어져서 처음의 모양새에서 많이 달라집니다꽃이 질 때쯤엔 솔직히 폼이 좀 그렇습니다^^국가단위 멸종위기 2급 식물이며취약종에 환경부 지정 희귀식물 (지정번호 식 - 65) 등등 암튼 귀하답니다혹시 산에서 만나시거들랑 제발 눈만 호강하시고 손은 점잖게 그냥 있으시길...만약 미치고 팔짝 뛸 정도로 이 아이를 키우고 싶으시다면개체 자체의 이식은 사망률 100%이니 씨를 채취하세요파종 시 발아율은 99%라고 합니다발아 .. 더보기
설앵초 [앵초과 - 설앵초]10 - 413앵초과 여러해살이풀 설앵초주 서식지는 남부지방 높은 산 바위틈이나 주변인 것 같습니다남부지방에 살면서 여름에 더워지는 걸 싫어하는좀 별난 녀석입니다여름에 더울 땐 은빛이 나는 잎 뒷면 쪽으로 뒤집어서 빛을 반사시킨다고 하네요 (국생종 참조)제가 만났을 땐 시기적으로 좀 늦었습니다사진을 담으면서 늦게 만난 게 억울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내년엔 꼭 제 시기에 만날 수 있도록...국가단위 멸종위기식물(위기종)이며 희귀종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숙은처녀치마 [백합과 - 숙은처녀치마]10 - 412백합과 여러해살이풀 숙은처녀치마제가 본 개인적인 느낌으로는처녀치마가 우리네 여인네들의 한복치마라면숙은처녀치마는 서양 여인네의 미니스커트 같은...시기적으로 한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늦게 만난 것 같습니다좀 일찍 갔더라면 더 멋진 장면을 담아 올 수 있었을 것 같은데처녀치마와 달리 숙은처녀치마는 해발 1,000m 이상 고지대에서 산다고 하네요이 녀석이랑 설앵초 보려고 높은 산을 올라가자고 하시는 삶님절대 안 간다고 버티다가 끌려가다시피 해서 갔었는데결론적으로 끌고 가주신 삶님이랑 청계님이 너무 고마웠던...^^;국생종에 최근에 등재가 되었는지특산식물이라는 글자 4자만 기록이 돼 있고 아무 정보가 없습니다제 짐작에 국제단위 특산식물이나 희귀식물은 아닐 것 같고우리나라 .. 더보기
보라노랑무늬붓꽃 & 노랑무늬붓꽃 [붓꽃과 - 보라노랑무늬붓꽃]10 - 411붓꽃과 여러해살이풀 보라노랑무늬붓꽃최근에 등재가 됐는지국생종에도 이름만 있을 뿐 아무 정보가 없습니다전체적으로 노랑무늬붓꽃이랑 동일한데꽃잎이 완전한 흰색이 아니고 연한 보라색이 들어갑니다제가 본 결과로는 그 외의 차이점은 없었습니다개인적으로 그냥 노랑무늬붓꽃보다 안 예쁜...^^국가단위 멸종위기식물 2급이자 취약종입니다 ***** [붓꽃과 - 노랑무늬붓꽃]붓꽃과 여러해살이풀 노랑무늬붓꽃은근히 귀엽고 예쁜 꽃입니다(사견)이 녀석이랑 각시붓꽃이랑 비교하면 그때그때 기분에 따라예쁘다는 생각도 오락가락 합니다^^잎은 각시붓꽃이 예쁘고꽃은 이 녀석이 예쁜 것 같습니다국가단위 멸종위기식물 2급이자 취약종입니다건강하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