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생식물

구상난풀 & 수정난풀 노루발과(수정난풀과) 수정난풀속 여러해살이풀 구상난풀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나 부생식물 특성상 자생지나 개체수가 희소한 편으로 만나기 쉽지 않은 편입니다 부생식물은 자체에 엽록소가 없어서 광합성을 할 순 없으나 기생식물처럼 다른 식물에 뿌리를 내려서 양분을 뺏는 건 아니고 썩은 부엽 같은 것에 뿌리를 내려서 양분을 얻는 이른바 자립형거지(?)입니다 볼 때마다 느끼지만 사실 엽록소가 없어서 광합성을 못할 뿐이지 그 외의 기능은 다른 식물이랑 별 차이가 없습니다 엽록소가 없어서 광합성을 안 하니 어두운 곳을 선호하며 전초는 높이 20cm에 달하고 모여나기하며 육질이고 원주형이며 잔털이 있고 연한 황갈색이 돕니다 잎이 퇴화된 비늘 같은 것이 어긋나기하는데 비늘조각은 길이 1 ~ 1.5cm 너비.. 더보기
으름난초 난초과 으름난초속 여러해살이풀 으름난초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아이로 썩은 균사에서 양분을 얻는 부생식물입니다 전체적으로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할 수 없으며 이론적으로는 썩은 균사에 기생한다고 표현하긴 하는데 다른 식물의 뿌리에 기생해서 양분을 뺏는 기생식물과는 엄연히 다릅니다 이름은 열매의 생김새가 얼핏 으름 열매처럼 생겼다고 붙였다는데 빨갛게 익는 열매가 제법 예쁩니다 문헌에선 전초가 50 ~ 100cm라고 하는데 어디 으름난초가 그렇게 장대한진 모르겠으나 제가 만나본 아이들은 대체로 20 ~ 50cm 전후였습니다 잎은 비늘모양이나 없는 것처럼 보이며 삼각형으로 뒷면이 부풀고 마르면 가죽같이 되는데 사실 광합성을 못하니 잎이라고 하기도 좀 뭣하긴 합니다 줄기는 곧게 서며 육질이.. 더보기
대흥란 난초과 보춘화속 여러해살이풀 대흥란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개인적으로는 경남 경북 강원도에서 만났고 제주도에선 씨방이 가득한 무리를 만났음)한다고 봐야할 것 같은데 자생지나 개체수는 아주 희소합니다 햇볕이 많이 들어오지 않으며 토양 부엽질이 많아 푹신한 곳을 자생지로 선호하는 아이로 낙엽이나 썩은 부엽에서 양분을 얻는 부생식물로 다른 식물의 뿌리에 기생해서 양분을 뺏어서 연명하는 기생식물과는 다릅니다 이름은 처음 발견한 곳이랑 관련이 있는데 전남 모처의 사찰 이름으로 지금도 거기에 자생지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전초는 10 ~ 30cm 정도이며 줄기라고 해야 할지 꽃대라고 해야 할지 좀 애매한 형태이며 근경 끝에서 나서 곧추서고 다소의 털이 있습니다 하부에 기부가 짧은 엽초로 된 막질의 비.. 더보기
구상난풀 & 수정난풀 노루발과(수정난풀과) 수정난풀속 여러해살이풀 구상난풀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부생식물로 썩은 나무 등에 뿌리를 내려 양분을 얻어 살아갑니다 일전에 올린 야고처럼 살아있는 숙주에 빌붙어 사는 건 기생식물이라고 하며 얘처럼 부엽에서 양분을 얻어서 살아가면 부생식물이라고 하는데 한라산 구상나무 숲에서 처음 발견했다고 이름을 구상난풀이라고 지었다네요 그나저나 국생종이나 여러 문헌에선 노루발과로 분류하는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선 유별나게 수정난풀과라고 분류를 하는데...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전초는 높이 20cm에 달하고 모여나기하며 육질이고 원주형이며 잔털이 있고 연한 황갈색이 돌며 대체로 곧게 자라는 편입니다 잎은 퇴화된 비늘 같은 것이 20 ~ 30개쯤 어긋나게 달리는데 길이는 1 ~ 1... 더보기
대흥란 난초과 보춘화속 여러해살이풀 대흥란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하나 제주도가 가장 많고 남부지방에 고르게 분포하며 강원도에도 자생지가 있으나 나머지 지역엔 소량이 분포합니다 이 아이는 썩은 토양에서 양분을 얻는 부생식물이나 다른 부생식물과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부생식물이면서 건방지게 엽록소도 있어서 어느 정도 광합성도 한다는 점입니다 이름은 처음 발견한 곳(전남 해남) 근처에 같은 이름의 사찰이 있으며 이명에 두륜란이라는 게 있는데 이건 그 절이 있는 산 이름입니다 백색 육질의 근경(뿌리)이 길게 뻗으며 가지치고 3각상의 비늘조각이 있으며 줄기는... 이게 줄긴지 꽃댄지 헷갈리는데 없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꽃대는 근경 끝에서 나서 곧추서고 다소의 털이 있고 하부에 기부가 짧은 엽초로 된 막질의 비늘잎이.. 더보기
천마 난초과 천마속 여러해살이풀 천마 부엽에서 양분을 얻어 살아가는 부생식물입니다 부생식물은 자체에 엽록소가 없어서 광합성을 못하니 햇빛이 필요 없어서 대체로 어두운 숲속 그늘을 선호합니다 천마라고 하니 천마(天馬)인가 하실 분이 계실라나... 천마(天麻)입니다^^ 처음 실물을 보신다면 얘가 난초과냐고 하실 수 있는데요 그건 꽃이 확실하게 벌어지지 않고 입구만 살짝 벌어지는 형태라서 난초과의 꽃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꽃을 해부하면 난초과 특유의 구성을 하고 있나 봅니다 부생식물이라 잎은 없고 줄기는 곧게 자라고 60 ~ 100cm로 제법 큽니다 꽃은 줄기 상단에 총상꽃차례로 피는데 꽃차례 길이는 10 ~ 30cm며 꽃은 연한 연두색이며 꽃받침 3장이 단지처럼 모여있습니다 난초과의 특징인 입술꽃잎은 꽃받침.. 더보기
대흥란 난초과 여러해살이풀 대흥란 부생식물로 나무나 낙엽 썩은 것에서 영양분을 얻어서 삽니다 정확한지는 모르겠는데 전남 해남에 있는 대흥사에서 처음 발견됐나 봅니다 뭐, 제가 발견했어도 딱히 붙일만한 이름이 없을 것 같습니다 부생식물이니 당연히 잎이 없고 광합성도 안 합니다 같은 난초과 집안인 으름난초도 부생식물이라 잎이 없습니다 자생지에서 관찰해보니 땅에서 곧바로 꽃봉오리가 고개를 내밀고 있었습니다 줄기는 10 ~ 30cm 정도로 자라며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은 길이가 2cm 정도이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으며 설판(입술모양꽃부리)는 1.5cm 정도입니다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대흥란 난초과 부생식물 대흥란 잎이 없습니다 잎이 없다는 건 광합성을 안 한다는 이야기고 썩은 나무나 낙엽에서 양분을 얻어서 꽃을 피웁니다 지금까지 여러 번 봤었지만 이번에 이 녀석의 비밀 한 가지를 알았습니다 일반 초본류 식물과 달리 땅에서 올라올 때 이미 꽃봉오리가 생겨서 올라온다는 겁니다 하긴 뭐 잎이 없고 뿌리에서 양분을 얻은 걸로 꽃을 피우니 뜸들이고 말고 할 것도 없지요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