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마음의 풍경 (사진)

고마리

[팔공산 - 2010 09 21]

마디풀과 한해살이풀 고마리

주로 물가나 습기가 많은 곳에 삽니다

꽃잎은 없으며 꽃잎처럼 보이는 건 꽃받침인데

색깔이 흰색 분홍색 혹은 흰 바탕에 끝에 분홍색이 들어가는 것 등등 다양합니다

같은 과의 며느리밑씻개랑 좀 헷갈리는데

며느리밑씻개는 덩굴이 길게 자라는 반면 고마리는 짧은 편이고

며느리밑씻개는 줄기에서 잎자루가 길게 뻗어 나오고 긴 삼각형이고

고마리는 짧고 여러 장이 모여 나면서 나팔꽃처럼 끝부분이 날개처럼 살짝 벌어집니다

아주 흔한 녀석입니다

꽃의 크기는 대략 5mm 정도로 작은 편인데

접사를 좋아하는 입장에선 바람만 안 분다면 아주 재미있는 사진소재입니다

마크로렌즈를 이용해서 최소 초점거리까지 접근한 후

조리개 f/11 정도로 촬영하시면 꽃술의 꽃가루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포스팅용으로 리사이즈를 할 경우엔 크롭을 하셔야 되구요





*****


[불갑사 - 2010 09 25]

여담으로 접사에 대해 말씀 드리자면

접사에서 가장 중요한 건 좌우지간 선예도입니다

구도도 중요하고 색감도 중요하지만 일단 선예도가 확보되어야 그 다음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럼 선예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되느냐...

[무조건]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접사 = 마크로렌즈]입니다

속된말로 내공이고 뭐고 없습니다

세상에서 제일 비싼 그 어떤 렌즈라도 접사에 관한한 가장 싼 마크로렌즈보다 못합니다

물론 제 경우에도 간혹 망원 줌렌즈(캐논 28-300L)나 표준 줌렌즈(캐논 24-70L)로 촬영을 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접사 목적이 아닌 꽃이 들어가는 풍경용입니다

원본 크기로 확대해서 보면 비교 자체가 모순입니다





*****


[황매산 - 2010 10 07]

그리고 조리개를 얼마로 하느냐...

사진이라는 게 산수 문제처럼 딱 정해진 공식이 있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특히 야생화의 경우 크기가 다 다르기 때문에 더더욱 정답은 없습니다

제 경우를 말씀 드리자면

저는 제 엄지손톱이랑 새끼손톱을 기준으로 합니다

꽃이 엄지손톱보다 클 경우 흔한 말로 [그저 먹기]입니다

엄지손톱에서 새끼손톱 정도면 적당히 찍을만 하고

새끼손톱보다 작으면 집중해서 찍습니다

제가 주변 분들에게 [f/11]을 강조하는 건

새끼손톱보다 작은 경우를 전재하는 겁니다

물론 아무리 작은 꽃이라도 굳이 꽃술까지 표현할 필요가 없을 경우 최대개방으로 찍어도 됩니다

조리개를 조은다는 건 그만큼 심도가 깊어진다는 것이고

심도가 깊어지면 선명한 사진을 얻을 확률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더 많이 최대치까지 조으면 더 선명할 것 아니냐...

그런데 안타깝게도 적정수준을 넘어서면 [회절현상]이라는 게 생깁니다

대물렌즈를 통과한 빛이 아주 작은 조리개 구멍으로 꺾여서 다시 촬상면으로 퍼지는데

조리개 구멍이 작으면 작을수록 회절현상은 비례해서 더 발생하게 됩니다

이론적으로는 f/14부터 회절이 생긴다고 하는데

제 경우 좀 더 안정적인 f/11을 선호합니다

디지털 카메라(DSLR)의 경우 크롭바디와 풀프레임바디가 있습니다

제 경우 풀프레임바디를 사용해서 f/11을 전재로 하는 것이고

크롭바디의 경우 크롭비율만큼 주변부는 사용하지 않으니 f/16정도까지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즉, 바디 성능이 동일하다는 전재에선 선예도에 관한한 크롭바디가 유리합니다

그러나 ~~~ !!!

현실적으로 각 메이커마다 풀프레임만한 성능의 크롭바디는 절대 만들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장사꾼이니까요

풀프레임 제일 싼 게 크롭바디 제일 비싼 것보다 비쌉니다

건강하세요






'내 마음의 풍경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제비꽃  (14) 2011.01.28
모데미풀  (18) 2011.01.27
이질풀  (18) 2011.01.25
노랑무늬붓꽃  (14) 2011.01.24
금강제비꽃  (19) 201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