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제비꽃
제비꽃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야생화에 관심이 있고 분류를 하는 사람이라면 고개가 절로 돌아갑니다
얼핏 보면 다 비슷한데 현재 국생종에 등록된 것만 63종입니다
국생종에 등록은 안 됐지만
학계에 정식으로 발표된 건 그보다 훨씬 많아서
그 수가 얼만지도 정확하지 않을겁니다
그럼 제비꽃과가 왜 이리 많고 복잡하냐
제비꽃 이놈들은 교잡을 엄청나게 잘 한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
사촌끼리 거시기를 잘 한다는 거죠 -_-
A랑 B랑 거시기해서 C가 나오고
다시 A랑 C가 거시기해서 D가 나오는 식입니다
카바레에 서식하는 제비랑 비슷한 놈들... ㅎ
*****
14 - 1233 (초본 1084 - 987)
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길오징이나물
누가 지었는지 이름하고는... -_-
이 녀석은 남산제비꽃 변종이라고 합니다
교잡종은 아니고 남산제비꽃이 변이를 일으킨 경우입니다
남산제비꽃이랑 비교하자면
잎이 남산제비꽃에 비해 좀 더 잘게 찢어지고
키가 남산제비꽃보다 작습니다
*****
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남산제비꽃
제비꽃의 이름은 처음 발견된 지명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이 녀석은 어디서 처음 발견됐는지 말씀 안 드려도 아시겠지요?
웃기는 건 창덕궁에서 발견됐다고 창덕제비꽃이라는 이름을 가진 녀석도 있습니다
*****
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단풍제비꽃
이 녀석은 교잡종입니다
남산제비꽃이랑 태백제비꽃의 교잡종입니다
이 녀석의 잎이 찢어지지 않으면 태백제비꽃의 잎이랑 같습니다
잘게 찢어지는 남산제비꽃이랑
안 찢어지는 태백제비꽃이 만나서 거시기 하더니만
이렇게 넓게 찢어지는 녀석이 나온 겁니다
*****
제비꽃과 여러해살이풀 태백제비꽃
이 녀석의 이명에 태백씨름꽃이라는 게 있습니다
이명에서 알 수 있듯이 딱 보면 강인하게 생겼습니다
태백산에서 처음 발견됐나 봅니다
위의 단풍제비꽃의 잎이 생김새는 남산제비꽃을 따라갔지만
잎의 색깔을 유심히 보시면 남산제비꽃보다는 태백제비꽃이랑 가깝습니다
이런 게 교잡종의 많은 특징 중 하납니다
이제 본격적인 제비꽃 계절입니다
얼핏 보기엔 다 그놈이 그놈 같습니다만
자세히 살펴보면 조금씩 다릅니다
제가 지금까지 제비꽃을 대충 2 ~ 30종 정도 본 듯합니다만
전체 제비꽃에 비하면 일부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그 수가 엄청납니다
아마 지금도 이놈들이 몰래 거시기 하고 있을 겁니다
오늘은 길오징이나물이랑 관련 있는 녀석들 위주로 올렸고
다음에 다른 제비꽃들도 좀 모아서 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머리는 아프지만 참 재밌는 집안입니다
건강하세요
'내 마음의 풍경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어리 (12) | 2014.04.07 |
---|---|
큰괭이밥 (20) | 2014.04.04 |
광대나물 & (흰)광대나물 (14) | 2014.04.02 |
얼레지 & 얼레지 (15) | 2014.04.01 |
솔이끼 (11) | 201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