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계령풀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한계령풀속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 강원도 특정의 고산지역에 분포하며 자생지 내 개체수는 안정적이나 자생지가 흔하지 않습니다 이름은 짐작하시듯 처음 발견한 곳이며 고산식물로 강원도의 몇몇 고산지역 중턱 이상 해발이 제법 높은 곳에 무리지어 자생합니다 이 아이의 이명에 메감자가 있는데 콩나물처럼 생긴 긴 뿌리 끝에 둥근 감자 모양의 덩이뿌리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매자나무과 식물이 그다지 흔하지 않으며 목본에 매자나무 산매자나무 등이 있고 초본에 한계령풀 깽깽이풀 등이 있습니다 매자나무과의 특징 중에 수술이 좀 유별난데 수술대 양쪽에 길이가 비슷한 꽃밥이 2개 있는데 이 꽃밥이 조금씩 위로 올라오면서 수정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노력을 한다는 겁니다 이런걸 보면 풀이라고 함부로 무시할 게 절대 .. 더보기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한계령풀속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 우리나라 백두대간(특히 강원도) 특정지역에 분포하며 소백산이 거의 남방 한계인 것 같습니다 고산성식물로 강원도 백두대간 고산 몇몇 곳에 자생하는데 햇볕이 잘 드는 양지의 부식질이 풍부하고 비옥한 토양을 가장 좋아한다고 하네요 이름은 위 2줄 설명으로 얼추 짐작하셨을 것 같은데 처음 발견한 지명에서 따왔습니다 전초는 높이 30 ~ 4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어서 매끈하며 실처럼 가늘어진 뿌리줄기의 20 ~ 50cm 아래에 둥근 덩이뿌리(이게 본 뿌리임)가 있고 여기에서 수염뿌리가 납니다 탁엽은 잎이랑 구분이 힘들 정도고 반원형 또는 원형으로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잎은 1개가 달리고 1cm정도에서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3개씩 갈라지는 2회3출복엽이며 작은잎.. 더보기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 이름은 설명 안 드려도 아시겠죠? 우리나라 강원도가 주 자생지이며 주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분포합니다 제 경우는 가장 가까운 태백산 주변에서 주로 만나곤 합니다 여러해살이긴 한데 봄에 꽃이 피고 씨를 맺으면 지상부는 이내 말라죽습니다 땅에서 싹이 올라온 후 기껏 두어 달 살다가 다음 해를 기약하는 아이지요 산과 들이 긴 시간 푸르니까 길게 살 것 같지만... 잎은 1개가 달리는데 이게 3개로 갈라지고 다시 또 3개로 갈라지는데 이런 경우를 2회3출복엽이라고 합니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톱니가 없어서 유순한 느낌입니다 국가적색목록 취약종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 이름의 한계령은 처음 발견된 지역명입니다 얘 이명이 메감자인데 콩나물처럼 생긴 긴 뿌리 끝에 감자처럼 생긴 덩이뿌리가 있다고 하네요 매자나무과 특징이 수술의 꽃밥이 양쪽에 길게 달려서 점점 위로 올라가는데 이는 꽃가루를 조금이라도 더 오래 퍼뜨리기 위함입니다 국가단위 희귀식물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 이름은 처음 발견한 장소의 지명에서 따온 것이며 고산성식물로 강원도 백두대간을 따라 소백산까지 분포한다고 합니다 꽃은 4월에 피며 5월에 씨를 퍼뜨린 후 지상부는 고사합니다 얘는 이식 성공률이 아주 낮습니다 땅속에 덩이뿌리가 있고 거기서 콩나물처럼 곧은 뿌리가 깊게 들어가는데 설령 지상부가 있을 때 캔다고 해도 덩이뿌리 찾기가 매우 어렵답니다 번식 방법은 씨를 받아서 파종하는 방법인데 발아율은 아주 높으며 싹이 돋은 후 3~4년 후에 꽃이 핀다고 합니다 인공 번식을 한 녀석도 이식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노란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는데 깽깽이풀이랑 더불어 매자나무과의 특징인 수술의 꽃밥이 수술대 양쪽에서 점점 밀려올라 오는데 수정 확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전략입니다.. 더보기
한계령풀 매자나무과 여러해살이풀 한계령풀 한계령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야생화 이름에 지명이 들어가는 건 대부분 그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보시면 되는데 아주 흔한 남산제비꽃의 경우 서울 남산에서 처음 발견됐습니다 올해 강원도 지역에서 대체적으로 빨리 피는 야생화들이 수난이었습니다 싹이 올라오고 한창 성장하고 꽃을 피울 시기에 잦은 폭설과 강추위 때문이었는데요 그래서인지 이 녀석의 경우도 올핸 꽃이 본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주질 못했습니다 *** 매자나무과를 대표하는 야생화가 한계령풀이랑 깽깽이풀인데 이 귀한 야생화들에게 (생긴 것도 봐줄만함) 왜 꽃이 아닌 풀이라는 이름을 썼느냐 제 짐작인데 분류군이(매자나무과) 초본이 아닌 목본이라서가 아닐까 싶네요 (진짜 사견입니다) 깽깽이풀도 그렇고 이 녀석도 그렇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