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성쓴풀

대성쓴풀 용담과 대성쓴풀속 한해(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우리나라 특정 지역에 극소량이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시베리아) 카자흐스탄에 분포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선 한해살이풀로 국생종에선 여러해살이풀로 분류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런저런 정황상 한해살이풀이 아닐까 짐작합니다(현재 정식으로 등록된 쓴풀은 전부 한해 혹은 두해살이풀임) 이름은 처음 발견한 곳의 지명이나 오류로 대덕산에서 발견했는데 대성산으로 착각해서 붙인 이름입니다 전초는 길이가 20cm 정도까지 자라나 높이는 10cm 미만으로 줄기는 비스듬히 서고 네모지며 연약하고 황록색을 띠며 차상분지합니다 차상분지(叉狀分枝)는 줄기 끝에서 똑같은 두 개의 가지가 생기고(Y자 형태) 이 가지 끝에서 같은 두 개의 가지가 ..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대성쓴풀속 한해살이풀(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우리나라 강원도 특정지역에 극소량이 분포하는 아이로 이름은 처음 발견한 사람이 위치를 (대성산으로) 착각해서 엉터리로 붙였다는 설이 있습니다(대덕쓴풀이라고 했어야...) 개체수가 얼마 되지도 않으면서 산골짜기 숲속에서 사는데 자생지가 안타깝게 등산로와 접하고 있어서 답압과 훼손 위협에 처해 있어서 이 작은 아이가 과연 버틸 수 있을까하는 불안한 마음이 볼 때마다 듭니다(오늘 사진은 전부 등산로 주변 아이들만) 그런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선 한해살이풀 국생종에선 여러해살이풀로 기록하고 있는데 쓴풀 집안이 대부분 한해 혹은 한두해 아니면 두해살이인지라 개인적으로 한해살이에 더 고개가 끄덕여 집니다 연한 줄기는 뿌리 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며(아닌 경우도 허다함..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대성쓴풀속 한해살이풀 대성쓴풀 용담과 집안은 대체로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그런데 이 아이의 경우 문헌에 따라 한해살이풀 혹은 여러해살이풀이라고 표기를 해놔서 아주 헷갈립니다 국생종은 여러해살이풀, 국립생물자원관은 한해살이풀로 명시를 해놨는데 한해살이풀이 맞...^^ 현재까지 알려진 자생지는 강원도 태백을 중심으로 그 주변인데요 이름은 처음 발견한 곳이 대성산이라서 그랬다는데 혹시 대성산이 아니고 대덕산 아닌지 궁금합니다 암튼 그 주변지역 숲속 계곡 주변에 분포합니다 꽃이 필 당시엔 전초가 손가락 길이 정도로 자그마하나 개화 후 20cm 정도까지 자라며 가지를 많이 치며 줄기는 4개의 능선과 미세한 날개가 있고 잎은 마주나고 난형 혹은 둥근 피침형이고 근생엽에 비해 줄기잎이 작은 편입니다 꽃은 가지와 ..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한해살이풀 대성쓴풀 용담과라는 분류나 쓴풀이라는 이름은 일맥상통한데요 용담(龍膽), 용의 쓸개라는 뜻인데 역사 속에 매일 곰의 쓸개를 핥으면서 구국의 뜻을 다졌다는 일화도 있잖아요 용담과는 뿌리에 쓴맛이 강할 걸 비유한 것입니다 이름의 대성은 처음 발견한 지명인데 이게 지명이 와전됐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정확히 하자면 대덕쓴풀이라야 된다고 하네요 강원도 모처에 아주 극소량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전초는 10cm 남짓이며 가지를 치고 뿌리잎은 주걱모양이고 달걀 모양의 줄기잎은 마주납니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 그리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꽃잎은 기본적으로 4개이며 꽃잎 안쪽에 2개의 선상체가 있습니다 쓴풀들이 전부 용담과 쓴풀속인데 대성쓴풀만 용담과 대성쓴풀속입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건강하세요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이름은 처음 발견한 지역명이라고 합니다 다른 쓴풀들은 용담과 쓴풀속인데 얘는 용담과 대성쓴풀속인데요 제 짐작에 다른 아이들은 한해살이거나 한두해살이인데 얘는 여러해살이라서 그런 게 아닐까 합니다 쓴풀들 중에서 덩치가 가장 작은 아이고 꽃도 가장 작은 편입니다 사실 덩치나 전체적인 느낌으로 보자면 얘가 가장 여리고 흔한 풀처럼 생겼는데 어엿하게 여러해살이풀이라는 게 의외입니다 쓴풀들 중에서 가장 이른 봄에 핍니다 여름에 피는 네귀쓴풀을 제외한 다른 쓴풀들은 전부 가을에 핍니다 얘도 네귀쓴풀처럼 꽃잎에 독특한 돌기(선상체)가 2줄 있습니다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용담과의 특징이기도 한데 쓴풀이라는 이름은 뿌리가 쓰다고 붙여진 것이며 용담(龍膽)... 용의 쓸개 대성은 처음 발견한 지명이라는데 그 지역에선 대성이 아니라 대덕이라고 해야 맞다는 이야기도 들리네요 뭐가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암튼 대덕산 자락입니다 쓴풀 중에선 가장 먼저 피는 아이로 전초의 크기나 꽃 크기가 가장 작으며 정확한 위치를 모르면 지나칠 정도로 작습니다 초행인 경우 옆에 서서 어디있냐고 묻기도 합니다^^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대성쓴풀 ***** 용담과 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이름은 최초 발견지(산 이름)이나 잘못 전달되었다고 합니다 쓴풀들 중에선 가장 소형에 속하며 네귀쓴풀처럼 꽃잎이 4개입니다 꽃잎 안쪽에 가시처럼 생긴 2개의 선상체가 있습니다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뿌리가 쓰다고 쓴풀이며 대성은 오류에서 생긴 것 같습니다 원래는 대덕산의 대덕으로 해야 맞는데 어쩌다 보니 대성으로 됐답니다 이 이야기는 인근 지역에서 나도는 소문이긴 합니다 현재 국생종에 등록된 쓴풀은 7종으로 개쓴풀 네귀쓴풀 대성쓴풀 쓴풀 자주쓴풀 큰잎쓴풀 흰자주쓴풀인데 이 중에서 대성쓴풀이 가장 먼저 피고 덩치는 가장 작습니다 자그마한 꽃이 가지와 줄기 끝 그리고 잎겨드랑이에서 피는데 꽃잎 꽃받침 수술은 각각 4개이며 꽃잎에는 2개의 가시 같은 선상체가 있고 수술에는 수염처럼 생긴 모상연이 나는데 워낙 작아서 둘 다 잘 안 보입니다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이름이 잘못 지어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처음 발견된 곳이 강원도 대덕산이라서 대덕쓴풀이라고 해야 한다는 거죠 그런데 이미 익숙해서 그런지 대성쓴풀이 나은 것 같습니다 이 집안은 뿌리에 쓴맛이 아주 강한가 봅니다 용담은 용의 쓸개를 뜻하는데 동물의 쓸개가 아주 쓰다고 하는데 얼마나 쓰면 가상의 동물인 용까지 동원했겠습니까 쓴풀 중에서 가장 먼저 핍니다 얘는 4를 좋아해서 꽃받침 꽃잎 수술이 각각 4개씩이며 줄기도 네모지며 꽃잎 중간에 각각 2개씩의 V자형 선상체가 있습니다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
대성쓴풀 용담과 여러해살이풀 대성쓴풀 확실한 이야긴진 모르겠지만 자생지에선 대성쓴풀이 아니고 대덕쓴풀이라야 맞다네요 처음 발견한 산이 대덕산이라서요 쓴풀 중에서 가장 먼저 핍니다 급하게 피느라 그런지 덩치는 가장 작습니다 너무 작아서 풀밭에 있으면 아예 보이지도 않습니다 작지만 쓴풀 고유의 생김새는 고스란히 가지고 있으며 저 작은 꽃 안에 모상연(털)까지 나 있는 걸 보면 좀 우습기도 합니다 꽃잎 중간에 뿔처럼 생긴 털도 있구요 국가단위 멸종위기종 2급입니다 건강하세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