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바위솔 & 가지바위솔
[돌나물과 - 둥근바위솔 - 2010 11 17]
10 - 612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둥근바위솔
야생화 중에 가장 늦게 꽃피는 종이 바위솔이 아닐까 합니다
그 중에서도 이 녀석이 좀 더 늦게 피는 것 같은데
아마 지금도 피고 있을 겁니다
길게 올라온 꽃대에 흰색꽃이 많이 핍니다(원주형 수상화서라고 한다네요)
주로 바닷가 갯바위 주변이나 산비탈 같은 곳에 피며
얼핏 보면 요즘 유행하는 다육식물처럼 보입니다
이 녀석을 만나려고 울산 명선도까지 세 번이나 갔습니다
하도 안 피길래 마지막엔 좀 늦게 갔더니 살짝 늦은 것 같기도 하네요
*****
[돌나물과 - 가지바위솔 - 2010 11 17]
10 - 613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가지바위솔
둥근바위솔이랑 차이점은 가지를 친다는 점입니다
사실 사진을 찍을 당시엔 전부 둥근바위솔인가 했는데
자료 수집차 국생종에 들어가 보고 구분 한다는 걸 알았습니다
둥근바위솔이 내륙에서도 사는 반면
이 녀석은 바닷가 암벽이나 갯바위에 산다고 하네요
갯가식물이라는 거죠
한동안 외도(?)를 했습니다
늘 야생화 사진을 올리다가 풍경사진을 올렸는데
이제 올해 마지막 야생화 출사도 다녀왔으니 슬슬 밀린 야생화 사진을 올릴까 합니다
물론 풍경사진도 가끔 올리긴 할겁니다
일전에 어떤 분이 사진 작업에 관한 질문을 하시더군요
제 경우 사진은 무조건 RAW가 아닌 JPG로 찍습니다
그래서 작업이라고 할 것도 없고 그냥 포토스케이프라는 프로그램으로 리사이즈를 하고 있습니다
예전엔 포토윅스라는 프로그램에서 리사이즈를 했었는데
포토스케이프가 좀 더 다양한 기능이 있더군요
규격을 지정해서 자르기를 할 수도 있고
여러 장을 묶어서 연속사진(GIF)을 만들 수도 있고
가로나 세로로 사진을 붙이는 기능도 있구요
그런데 포토스케이프는 리사이즈를 할 때 다단계 리사이즈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사진에선 별 문제가 없는데 하늘이 나오는 사진의 경우
미세하지만 깨지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예전 막투앤 사용할 땐 그런 현상을 별로 못 느꼈는데
데스막쓰리를 사용하면서부터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 보니
아무래도 고화소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것 같습니다
막투앤이 820만 화소 데스막쓰리가 2110만 화소입니다
본인 카메라 화소수를 참고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네요
그리고 올 가을 무렵부터 리사이즈 할 때 긴축 기준 1600으로 리사이즈 하고 있습니다
포스팅 한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로 보실 수 있으며
22”정도 와이드 모니터에선 무난하게 보실 수 있고
바탕으로 지정하시면 사용 가능하십니다
제 블로그는 마우스 오른쪽 클릭이 허용돼 있습니다
바탕화면용 원본을 좀 달라는 분이 계셔서 말씀 드렸습니다
건강하세요